- 전방십자인대 파열 → 반월상 연골 손상 → 퇴행성 관절염으로 발전
스키의 계절, 겨울이 돌아왔다. 운동 마니아라면 특히 설원이 펼쳐진 정상에서 스피드를 즐기는 스키의 매력에 빠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스키가 주는 스릴을 만끽하게 전에 도사리고 있는 무릎 부상을 조심해야 한다. 회사원 이모(35·광주)씨는 지난주 직장 동료와 함께 스키를 타다가 넘어지는 바람에 무릎을 다쳐 정형외과를 찾았다. 정밀검사 결과, 무릎에 있는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씨처럼 스키 운동 시 전방십자인대 부상을 입는 원인은 무리한 동작을 하였거나 안전요령 및 준비운동을 소홀히 했을 가능성이 높다.
◈ 무리한 동작 및 준비운동 소홀 시 무릎 부상 발생 多
손상이 자주 생기는 부위로는 다리인데 특히 무릎 안쪽에 위치한 전방십자인대를 많이 다치는 편이고, 그 뒤로 반월상 연골 손상과 골절 등이 꼽힌다. 스키 손상은 주로 몸이 회전할 때 비틀림으로 인해 발생한다. 바인딩과 스키부츠가 좋아지면서 정강이뼈의 골절과 발목 손상은 과거보다 많이 줄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방십자인대 부상을 줄이기는 쉽지 않다.
전방십자인대는 무릎을 받쳐주는 4개의 인대 중 무릎이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는 인대이다. 주로 스키를 타다가 뒤로 주저앉는 과정에서 무릎이 구부러지면서 끊어진다.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면 관절 속에 출혈이 발생해 손상부위가 붓고 관절이 불안정해 통증이 생긴다. 하지만 보통 2~3일이 지나면 통증이 사라진다. 이 때문에 환자들은 인대파열이라 인식하지 못하고 타박상이라고 오인,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주로 스키 초급자 중 다리를 넓게 벌린 상태에서 엉성하게 서 있을 때나 스텝이 꼬여 스키가 엇갈릴 때 생긴다. 급하게 회전하거나 다른 사람과 충돌하여 다치기도 한다. 또한 뒤로 넘어져 미끄러질 때 아래쪽 스키의 안쪽 가장자리가 걸려서 다리가 안으로 비틀려서 생긴다. 전방십자인대 부상을 조심해야 하는 이유는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된 경우 치료가 늦어지면 무릎의 연골이 손상되고, 그 결과 퇴행성관절염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 무릎부상을 막기 위해서는
스키장에선 스키 기술과 함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의식과 10~20분 정도의 준비운동, 그리고 근력강화 운동이 중요하다. 몸 상태가 좋지 않을 때는 주저하지 말고 스키 타는 것을 멈춘다. 스키를 탈 때 전방십자인대 부상을 막기 위해서는 무릎을 굽힌 상태를 유지하고, 넘어질 때 억지로 무릎을 펴지 않는다. 착지할 곳과 방법을 알지 못하면 점프하지 말고, 착지할 때는 무릎을 굽힌 상태로 양쪽 스키를 모두 이용한다.
전방십자인대 부상 시 병원 방사선검사로는 알 수는 없지만, MRI촬영 및 이학적 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다. 완전히 파열된 십자인대는 저절로 붙는 자연 치유가 거의 없어 대부분 수술로 치료해야 한다. 특히 활동이 왕성하고 스포츠를 즐기는 50세 미만의 젊은 사람일수록 인대 재건 수술이 필수적이다.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최근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인대 재건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관절염 환자 본인의 슬개건(무릎힘줄)과 허벅지 힘줄(슬괵건) 두 가닥을 이용해, 손상된 전방십자인대를 최대한 복원하려는 두 가닥 재건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부평 힘찬병원 정형외과 박영준소장은 “스키 도중 무릎에 부상을 입었을 경우, 섣부른 자가진단보다 초기에 전문의를 찾아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며 “관절내시경 수술의 발달로 초기에 전방십자인대를 수술할 경우에 회복이 빠르고 결과도 좋아 훗날 퇴행성 관절염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한다.
도움말:부평 힘찬병원 정형외과 박영준소장
ⓒ donga.com & ePR 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