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일을 배우던 1970년대에 아버지가 네즈 미술관의 고려 불상을 보라해 갔다가 섬세한 아름다움에 반했던 기억이 납니다.”(야마모토 호즈)
1950년부터 일본 도쿄에서 현대미술을 다룬 1세대 화랑이자, 한국 미술을 소개했던 도쿄화랑의 두 대표 야마모토 호즈(75), 타바타 유키히토(73)가 한국을 찾았다. 두 사람은 창업자인 야마모토 다카시(1920~1988)의 아들로, 국립현대미술관에 화랑이 한국미술 관련 기록 4500여 점을 기증하면서 관련 학술 세미나에 참석했다. 20일 서울 종로구의 미술관 후지시로세이지 북촌스페이스에서 두 대표를 만났다.
일본 현대미술과 함께한 화랑
도쿄화랑은 루치오 폰타나, 이브 클랭, 잭슨 폴록 등 서양 현대미술 작품을 취급했다. 이와 동시에 1960~1970년대에는 비평가·이론가와 협업한 기획 전시를 다수 선보이면서 일본 현대미술의 흐름과 호흡을 함께 했다. 1968년 ‘트릭 앤 비전 : 도둑맞은 눈’ 전시를 기점으로는 모노하 예술을 적극 소개했다. 모노하는 자연 혹은 사물을 마주하며 발생되는 ‘만남의 미학’을 보여준 예술로 이우환이 대표적이다.
두 대표는 어린 시절부터 이우환, 다카마쓰 지로(1936~1998) 등 모노하 작가들이 서로 철학적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자주 봤다고 했다. 야마모토는 “이우환과 다카마쓰가 영향을 받은 사이토 요시시게(1904~2001)도 중국 철학을 공부했고, 이우환은 다카마쓰와 아틀리에에서 논어 연구를 많이 했다”고 회고했다. 그러면서 “세키네 노부오(1942~2019)가 이우환이 쓴 평론 ‘존재와 무를 넘어서’를 보고 신주쿠의 찻집에 직접 이우환을 데려가 모노하 작가들에게 소개해주었다는 이야기를 세키네가 해준 적이 있다”고 덧붙였다. 타바타는 “이우환을 비롯한 모노하 작가들은 직접 자신의 작품을 설명하는 것은 물론 글까지 쓸 수 있었는데 이는 당시로서는 드문 경우”라고 했다.
한국 작가도 일본에 소개
이밖에도 1970년대 도쿄화랑은 윤형근, 김창열, 김환기, 박서보 등 한국 작가의 개인전을 열었다. 야마모토는 “아버지께서 고미술상에서 일할 때부터 조선 미술에 관심이 많았다”며 “이후 갤러리를 열고 서양 외 가능성을 찾기 위해 아시아를 다니다 본인의 취향에도 맞고 고유한 특성이 있다고 보고 취급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도쿄화랑은 1975년에는 박서보, 서승원, 허황, 이동엽, 권영우 작가가 참여한 ‘한국 5인의 작가, 다섯 개의 흰색’전도 열었다. 이에 대해 타바타는 “전시 당시에는 아무런 반응이 없었는데, 2년 뒤 도쿄센트럴미술관에서 ‘한국 현대미술의 단면’전을 통해 관심을 갖는 분이 많아졌다”며 “이 전시를 박서보 작가가 꼭 해야 한다고 말했고, 한국 대사관에서도 지원을 해 전시를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런 한국 작가들의 전시 사진, 리플릿, 도록 등 관련 자료가 2019년에 4200여 점, 도쿄화랑의 역대 전시 리플릿 등 자료 300여 점이 2022년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됐다. 1973년 이우환의 전시 리플릿은 선과 점이 그어진 그의 작품을 모티프로 한 디자인이 인상적이다. 어떤 작품이 전시되었는지 상세한 기록에 사진도 다수 남아 있어 향후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타바타는 “아버지가 오래 전부터 한중일 예술에 깊은 관심을 갖고 일을 해온 흐름을 한국의 국립현대미술관 기증으로 인정받게 된 것 같아 기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