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한파가 고용시장에 밀어닥치고 있다. 전염병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가 권장되는데다 대응에 경황이 없는 기업들이 줄줄이 신입사원 채용 일정을 미루거나 취소하고 있다. 지난달 한국경제연구원의 조사에서 대기업들 가운데 50%가 채용 규모를 축소할 예정이거나 아직 채용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1년 내내 채용공고를 기다리던 취업준비생들은 코로나로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되면 취업문이 더 좁아질까 애태우고 있다.
통계청이 어제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서도 20대 취업자의 수가 눈에 띄게 줄었다. 음식점 등에서 아르바이트를 많이 하는 20∼24세 취업자가 4만9000명이나 줄었고 25세 이상 취업자도 증가세가 둔화됐다. 2월 취업자 수는 전체적으로 49만 여명 늘었으나 코로나의 영향이 본격 반영되는 3월부터는 고용시장에서의 피해가 커질 것이 우려된다.
기존 취업자들도 무급 휴직과 실업 등이 늘고 있다. 지역 고용센터마다 실업급여를 신청하려는 사람들로 북적인다. 손님이 뚝 끊긴 음식점을 그만둔 종업원, 도산 직전의 해운사에서 해고된 간부 등 사업장의 규모와 종류도 다양하다. 2월 실업급여 지급액은 7819억 원으로 역대 최대였다. 사업자가 고용유지를 할 때 정부가 일부 자금을 지원해주는 고용유지지원금 신청은 작년에 총 1500여 건이었으나 올 들어 1만 건을 넘었고 최근엔 하루 1000건 씩 늘고 있다.
경기 침체로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이 줄도산 하고 이것이 일자리 공황으로 이어지지 않으려면 우선 이들이 버틸 수 있게 긴급자금 지원이 원활하게 이뤄져야 한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7조 원의 코로나 대출을 풀었다고 하는데 은행 창구에서는 상담과 심사하는 데만 3개월 이상 걸린다는 호소가 나온다.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일용직 근로자, 특수형태근로 종사자 등 취약계층은 정부의 각종 고용 지원에서도 배제될 가능성이 높다.
경제가 제대로 돌아가려면 어려울 때라도 젊은 피의 수혈이 필요하다. 기업들은 지속가능 경영과 전체 경제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젊은이들을 채용하기 바란다. 정부도 인센티브를 활용해 기업들의 신규 채용을 북돋아줘야 한다. 정부가 발표하는 지원 정책들이 현장에서는 심사과정에서 막히거나 정작 필요한 곳에는 구멍이 뚫린 경우가 많다.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일자리안정자금 고용유지지원금 등 가능한 모든 정책을 선제적으로 유연하게 적용해 일자리 문이 닫히는 것만은 막아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