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논의하기 위한 한중일 보건당국 전화회담을 제안했다고 일본 아사히신문이 어제 보도했다. 아베 신조 총리의 측근이 11일 주일 한국대사, 중국대사와 각각 만나 코로나19 확산은 “3국의 국가적 위기”라며 3국 간 정보공유 강화를 제안했다는 것이다.
한중일 3국 방역 당국 간에는 이미 핫라인이 가동 중이다. 3국의 보건장관들은 코로나19가 ‘우한 폐렴’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지난해 12월 연례 회의를 열고 보건위기 발생 시 직통 연락체계 구축에 합의했다. 3국의 질병관리본부도 2007년부터 연례회의를 열고 정보를 공유해 오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공조가 이뤄지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발원지인 중국은 믿을 만한 통계나 바이러스에 관한 자료를 내놓지 않았고, 일본은 합리적 근거 없이 한국인 입국 제한 조치를 단행했으며, 한국 정부는 일본에는 신속한 맞대응을 하면서 중국 지방정부들의 잇단 한국인 입국 제한과 모욕 행위엔 눈감았다. 방역에 관한 한 3국 모두 서로를 신뢰하지 않는 형편이어서 단단한 공조체제 구축이 꺼려질 수 있다.
하지만 코로나19는 국경을 넘어 세계적인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어 각자도생(各自圖生)으로는 방역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어느 한 곳이 뚫리면 나머지도 안전할 수 없어 글로벌 공조가 절실하다. 특히 지리적으로 가깝고 경제 교류가 빈번한 3국은 하루속히 실질적인 공조체제를 가동해야 한다.
무엇보다 코로나의 매를 먼저 맞은 중국과 한국은 많은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다. 중국은 발원지인 만큼 바이러스에 관한 정보를 공유해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도와야 한다. 한국은 빠른 진단으로 많은 중·경증 환자들을 치료한 임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3국의 방역 정책을 공유하고 진단키트 마스크 의료장비를 포함한 방역 물자 교류도 논의해야 한다.
신종 감염병의 출현 빈도가 잦고 발생 주기가 짧아지고 있다. 코로나19가 종식되기는커녕 계절성 유행으로 고착화될 가능성도 있다. 3국은 코로나 사태가 끝난 이후로도 신종·재출현 감염병 유행에 대비해 상시 공동 방역체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