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 ‘반쪽 주의보’]전문가 “극미세먼지 예보시스템 시급”

  • 입력 2006년 5월 8일 03시 01분


코멘트
환경부가 2002년 황사의 위해성에 대한 평가를 서울대 인하대 아주대 등 국내 대학에 의뢰했을 때 연구진은 극미세먼지 측정과 모니터링이 가능한 예보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상청은 현재 10μg(마이크로그램·1μg은 100만분의 1g) 이하의 먼지 총량을 재는 ‘PM10’ 방식으로 미세먼지를 측정하고 발표한다.

인하대 연구팀은 측정 기준을 ‘PM2.5’ 방식으로 바꿔 2.5μg 이하 미세먼지까지 확인해야 정확한 모니터링과 예보가 가능하고 국민이 황사에 올바르게 대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황사의 전체 농도를 파악할 때는 PM10 방식이 정확하지만 국민의 건강을 생각하면 더 세밀한 측정이 필요하다는 설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 따르면 미세먼지를 30% 줄일 때 수도권의 호흡기 및 심장 질환 사망자가 매년 최대 120명 줄어들고, 환자는 3800명 감소한다.

기상청은 현재 PM2.5 장비를 갖추고 있지만 연구 용도로만 사용하고 있다.

환경부 대기정책과 관계자는 “PM2.5 방식은 현재 미국 호주 등 일부 국가에서만 사용하고 있다”며 “국내의 경우 2010년 이후에나 PM2.5 방식으로 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PM2.5 방식으로 미세먼지를 측정하면 환경오염 단속 기준까지 바꿔야 한다.

정용원(鄭鏞元) 인하대 환경공학부 교수는 “황사 예보를 담당하는 기상청이 미세먼지 농도에 대해 더욱 세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차준호 기자 run-juno@donga.com

▼노철언 교수 “유해성 정밀연구 정부 팔걷어야”▼

“기상 환경 화학 등 황사 관련 분야의 연구가 가능하도록 정부가 ‘황사종합연구센터’를 세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인하대 황사연구팀 노철언(사진) 교수는 “정부가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황사 대책을 세우려면 황사종합연구센터를 만드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친분이 있는 의대 교수가 있는데 황사가 인체에 미치는 연구에 관심이 많아요. 그런데 시료(발원지의 토양)가 없어 늘 고민합니다. 황사 시료를 채취하려면 대형 포집시설이 필요한데 개인이나 대학이 만들기에는 어렵죠.”

노 교수는 현재 기상청의 황사 연구 관계자에게서 황사 시료를 얻어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황사를 연구하고 싶지만 한계를 느끼는 학자가 많으므로 이제는 정부가 나서서 중장기 프로젝트에 따라 황사를 연구해야 한다고 그는 말했다.

노 교수는 정부가 황사 연구를 단기적 차원에서 접근할 경우 황사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황사가 대기오염 물질과 결합하고 화학반응을 일으킨 뒤 얼마나 유해한지에 대한 연구가 이뤄졌으면 좋겠다”며 “봄의 불청객인 황사는 이제 매년 반복되는 자연현상을 넘어 공포의 대상이 된 만큼 관심을 많이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 교수는 1999년 세계 최초로 단일입자 분석 방식을 개발했다. 지난해에는 황사의 화학반응을 담은 논문을 세계적 학회지인 ‘환경과학기술(ES&T)’과 ‘지구물리학연구저널(JGR)’에 소개해 호평을 받았다.

인천=차준호 기자 run-jun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