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호스로 빼낸다? 뽑고 옮길때 바이러스 퍼질수도② 퇴비로 만든다? 이물질 분리 어려워…“이론수준”
《 “구제역 침출수를 고온멸균 방식으로 퇴비화하는 방안을 시현해보겠다.” “침출수를 뽑아내 폐수처리장에서 처리하겠다.” 앞은 한나라당 구제역대책특위 위원장인 정운천 최고위원이 18일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하면서 한 말이고 뒤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17일 발표한 침출수 유출 방지 방안이다. 과연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일까. 》 ○ 침출수 뽑아 옮기기
정부는 매몰 1개월 후 침출수가 본격적으로 나오면 매몰지 내 유공관에 호스를 집어넣은 후 분뇨차량을 이용해 마치 정화조에서 배설물을 빨아들이듯 침출수를 추출할 계획이다. 이후 강산성, 강알칼리성 화학물질을 넣어 멸균하고 분뇨차량 탱크에 실어 하수처리장으로 옮길 계획이다.
정부 계획에 대해 민간 전문가들은 “전례가 없어 판단을 못 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말은 쉽지만 현장에서 실행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많았다. 서울대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 이군택 교수는 “침출수를 뽑아 폐수처리장에 보내려면 운송관을 연결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운송 차량에 담아서 폐수처리장에 보낼 경우 구제역 가축 사체 내 세균이 확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김태융 농림수산식품부 동물방역과장은 “이동할 때도 멸균해 옮기기 때문에 문제없다”고 반박했다.
침출수 배출용 유공관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매몰지가 많아 호스를 넣어 뽑기가 어렵다는 지적도 나왔다. 서울대 환경대학원 김정욱 교수는 “마구잡이로 묻는 과정에서 유공관 등 각종 장치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곳이 많다”며 “이 경우 다시 매몰지를 파 헤쳐 파이프를 박아야 하는데 잘못하면 주변에 바이러스가 다시 확산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퇴비화, 이론적으로는 가능
침출수를 퇴비로 이용하는 방안 역시 민간 전문가들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현실에서는 쉽지 않다”고 진단했다. 이론적으로 가능한 이유는 침출수는 동물이 썩는 과정에서 나오는 유기물이기 때문이다. 소, 돼지 등 동물은 몸체의 70%가 물로 이뤄져 있다. 침출수가 썩기 시작하면 큰 분자인 단백질이 쪼개져 작은 분자인 아미노산이 된다. 아미노산은 땅속에서 유기물질로 변환된다. 유기물질은 탄소, 수소, 인으로 이뤄져 있어 땅에는 영양분이 된다.
매몰지 내 침출수에는 각종 이물질이 섞여 있는 데다 구제역 바이러스를 담고 있어 비료로 사용하기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 김정규 교수는 “매몰 시 항생제를 뿌려주고 톱밥, 생석회를 깐다”며 “이런 것이 침출수에 섞이게 되면 비료로 쓸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구제역 바이러스는 온도, 습도, 수소이온농도(pH) 등에 따라 생존기간이 다르다. 기온으로 보면 추울수록 오래 산다. 서울대 지역시스템공학과 이인복 교수는 “구제역 바이러스는 영상 4도에서 4개월, 영하 5도에서 1년 이상 생존하다”며 “반면 온도가 50도가 올라가면 30분 안에 소멸한다”고 말했다.
침출수 비료화가 경제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정규 경상대 축산학과 교수는 “비료로 사용하려면 침출수가 완전부패를 해야 한다”며 “이 과정이 10년 이상 걸리고 생산할 수 있는 비료 물량도 적어 경제성이 없다”고 설명했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좋아요
0개
슬퍼요
0개
화나요
0개
댓글 7
추천 많은 댓글
2011-02-19 13:21:02
병원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살균처리해서 재활용하자는 말이군요.
2011-02-19 11:39:58
무슨 의견이 나오면 비웃거나 반대를 위한 반대부터 하는데.. 이제는 그만 좀 합시다! 제 생각에도 정운천 전장관님의 의견도 일리가 있는것 같군요.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검토하며 의견들을 모으면 좋은 해결방안이 나올듯 합니다.
2011-02-19 09:17:35
침출수는 액체비료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7년전부터 축산의 오폐수를 모아 액체비료탱크에 보관하면서 Fermentation (발효) 과정을 거쳐 액체비료를 만들어 과수재배와 농업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좀더 연구하면, 분명히 침출수도 액체비료로 만들 수 있습니다. 정운천님의 의견도 일리가 있다고 봅니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놓으면 비웃기부터 하는 나쁜 버릇은 버려야 합니다. 정부에 건의하고 싶습니다. 현재 각 지자체별로 운영 중인법랑철판을 사용한, 그래서 녹슬지 않고 영구적으로 사용되는 액체비료 법랑철판탱크를 활용하기 바랍니다. 더 알고 싶은 분은 언제든 연락 주세요. 이메일: shin@winworld.co.kr 전화: 011-308-7211
신이내린 재앙이다.설왕설래는 다집어치우고 자연정화 기능에 맡겨두는것이 현명하다.금년여름에는 매몰지 부근에 최악의 송장썩는 냄새가 날것이다.그러나 그동안 가축 분료냄새를 잘도 참아온 국민들이다.한 오년은 참아야할것이다.단,이참에 축산업은 도태시킴이 마땅하다.
2011-02-19 13:21:02
병원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살균처리해서 재활용하자는 말이군요.
2011-02-19 11:39:58
무슨 의견이 나오면 비웃거나 반대를 위한 반대부터 하는데.. 이제는 그만 좀 합시다!
제 생각에도 정운천 전장관님의 의견도 일리가 있는것 같군요.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검토하며 의견들을 모으면 좋은 해결방안이 나올듯 합니다.
2011-02-19 10:38:58
이 문제를 대안에 대하여 전국에 공지해서 방안의견들을 한번 모아 보세요. 지혜라는 것은 나무꾼들에게도 있나이다. 그리하여 전문인들이 방안을 취합하면 방법이 나올상 십네요. 부정적으로 이야기하는 사람들에게는 마음을빼앗기지 말고요. 분명히 방법은 있을 것입니다. 저는 전세난 문제에 방법을 찾아 볼게요.
2011-02-19 10:05:53
침출수를 뽑아 퇴비화(액비&톱밥퇴비등에 흡수 후발효등)시킨다는대 좋은 생각이라고 본다.바이러스는 고온처리하면 될것이고.처리비용이 문제인대 침출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생각하면 충분한 값어치가 있는 일이다. 가축 300백만마리 매몰처리 했다는대, 사람몸의 물구성비가 70%인점을 감안하면 침출수 장난이 아니다
2011-02-19 10:05:32
참으로 좋은 발상입니다. 더 머리를 맡대고 방법을 강구해보십시요, 나라와 국민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더 적극성을 가져보세요. 반드시 방법이 있을겁니다. 그리고 봄은 오는데 반드시 해야할 일입니다. 잘되도록 하느님께 빌겠습니다. 더 방법을 찾아 봐 주십시오.
2011-02-19 09:17:35
침출수는 액체비료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7년전부터 축산의 오폐수를 모아 액체비료탱크에 보관하면서 Fermentation (발효) 과정을 거쳐 액체비료를 만들어 과수재배와 농업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좀더 연구하면, 분명히 침출수도 액체비료로 만들 수 있습니다. 정운천님의 의견도 일리가 있다고 봅니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놓으면 비웃기부터 하는 나쁜 버릇은 버려야 합니다. 정부에 건의하고 싶습니다. 현재 각 지자체별로 운영 중인법랑철판을 사용한, 그래서 녹슬지 않고 영구적으로 사용되는 액체비료 법랑철판탱크를 활용하기 바랍니다. 더 알고 싶은 분은 언제든 연락 주세요.
댓글 7
추천 많은 댓글
2011-02-19 13:21:02
병원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살균처리해서 재활용하자는 말이군요.
2011-02-19 11:39:58
무슨 의견이 나오면 비웃거나 반대를 위한 반대부터 하는데.. 이제는 그만 좀 합시다! 제 생각에도 정운천 전장관님의 의견도 일리가 있는것 같군요.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검토하며 의견들을 모으면 좋은 해결방안이 나올듯 합니다.
2011-02-19 09:17:35
침출수는 액체비료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7년전부터 축산의 오폐수를 모아 액체비료탱크에 보관하면서 Fermentation (발효) 과정을 거쳐 액체비료를 만들어 과수재배와 농업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좀더 연구하면, 분명히 침출수도 액체비료로 만들 수 있습니다. 정운천님의 의견도 일리가 있다고 봅니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놓으면 비웃기부터 하는 나쁜 버릇은 버려야 합니다. 정부에 건의하고 싶습니다. 현재 각 지자체별로 운영 중인법랑철판을 사용한, 그래서 녹슬지 않고 영구적으로 사용되는 액체비료 법랑철판탱크를 활용하기 바랍니다. 더 알고 싶은 분은 언제든 연락 주세요. 이메일: shin@winworld.co.kr 전화: 011-308-7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