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사전투표 조작 절대 없다…강경 대응할 것”

  • 동아닷컴
  • 입력 2020년 4월 22일 16시 01분


코멘트
사진=뉴스1
사진=뉴스1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1대 총선에서 부정선거 의혹이 제기된 것에 대해 전면 반박했다.

선관위는 22일 보도자료를 통해 “선관위가 투·개표 결과를 조작하는 일은 절대 있을 수 없다”며 “제시하고 있는 근거도 부정선거의 증거가 될 수 없다”고 밝혔다.

최근 일부 유튜브 채널에서 선관위가 사전투표 결과를 조작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미래통합당 후보 간 평균 득표비율이 63% 대 36%로 일정하다며 투표 조작 음모론을 퍼뜨렸다.

하지만 선관위에 따르면 서울·인천·경기 지역 사전투표에서 민주당과 통합당 후보들만으로 계산한 득표비율은 서울 평균 63.95 대 36.05, 인천 평균 63.43 대 36.57, 경기 평균 63.58 대 36.42로 집계됐다. 그러나 이는 다른 정당과 무소속 후보를 제외한 수치다.

선관위는 유효표 전체를 기준으로 다른 정당과 무소속 후보를 포함하면, 서울 평균 61.31(민주) 대 34.55(통합) 대 4.14(기타), 인천 평균 58.82 대 33.91 대 7.27, 경기 평균 60.68 대 34.76 대 4.56로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또 대구·경북·울산 등에서는 다른 비율을 보였다고 반박했으며, 선거구 전체로 보면 253개 선거구 중에서 17개 선거구(6.7%)만이 63 대 36의 비율이라고 발표했다.

선관위는 “공직선거법 제186조에 따라 투표지·투표록·개표록·선거록·기타 선거에 관한 서류는 보관한다”며 “따라서 선관위는 선거의 효력에 이의가 있는 선거인은 무책임하고 근거 없는 의혹만을 유포하지 말고 선거소송을 제기해 모든 의혹을 명백히 밝히라”고 지적했다.

이어 “양당 외 정당 추천 후보와 무소속 후보의 득표를 제외하고 일부 지역에서 두 정당의 득표율만을 비교한 수치로 결과가 조작됐다고 주장하는 건 지나친 비약”이라며 “정당의 득표비율은 유권자 의사가 반영된 결과로 지역별로 나타난 투표 결과의 원인을 설명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득표 비율만으로 선관위가 사전투표 결과를 조작했다는 건 어떠한 근거가 될 수도 없다”고 설명했다.

선관위는 민주당과 통합당 후보 각각의 관내 사전투표 득표율 대비 관외 사전투표 득표율이 특정 상수로 동일하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해당 선거구에서 단순히 일치하는 결과를 보인 것일 뿐”이라며 “전국 253개 지역구 중 11개 선거구(4.3%)만이 같은 비율이므로 전국적으로 유사한 결과도 아니다”라고 대응했다.

선관위는 이외에도 참관인 본인의 서명이 아니라며 투표함이 교체됐다는 주장, 선관위 청사 앞에서 훼손된 봉인지가 발견돼 투표함이 바꿔치기 됐다는 주장, 투표지 파쇄 주장 등에 대해서도 모두 “전혀 불가능하다”고 일축했다.

선관위는 “의혹제기가 많은 사전투표의 경우 관내 사전투표함은 투표 종료 후 정당·후보자별 투표참관인과 경찰공무원 동반 하에 시·군·구 선관위로 이송해 출입이 통제되고 폐쇄회로(CC)TV로 24시간 촬영 중인 곳에 보관한다”고 부연했다.

또 “사전투표함을 개표소로 이송할 때에도 정당·후보자별 개표참관인이 투표함 봉쇄·봉인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개표참관인 참관 하에 정당추천 선관위원과 경찰공무원이 동반한다”며 “선관위는 전국의 시·군·구 선관위에서의 관내 사전투표함 보관상황이 녹화된 CCTV 영상을 보관하고 있고 누구든지 영상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이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선관위는 “이번 총선의 투·개표를 관리하는 데에는 전국적으로 30만 여명이 참여했으며 부정이 있다는 건 선거 관리과정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조작에 가담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라며 “정확한 근거 없이 무모한 의혹만으로 국민 통합을 저해하고 사회 분위기를 어지럽히는 행위에 대해선 당사자 및 관련자 고발 등 강경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서한길 동아닷컴 기자 stree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