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섭 ‘은지화’- 고려청자 상감기법… ‘한국의 美’ 뿌리를 찾아서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7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DNA: 한국미술,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내일 개막
문화재-근현대작품 마주 전시
이건희 기증작 4점도 포함
21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이건희 컬렉션 60여 점 공개

김환기의 ‘19-Ⅵ-71 #206’
김환기의 ‘19-Ⅵ-71 #206’
전통은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현대에 헌정된다. 오늘날 ‘한국의 미(美)’로 꼽히는 예술에는 수백 년의 시공간을 초월해온 예술가들의 정신이 이어지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이 8일부터 10월 10일까지 서울 중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무료로 선보이는 ‘DNA: 한국미술, 어제와 오늘’ 전시에서는 과거와 현재의 문화재 및 미술품을 교직하며 한국적 아름다움의 뿌리를 찾는다.

위부터 이중섭 ‘은지화’(이건희 컬렉션), 도상봉의 ‘포도 항아리가 있는 정물’(이건희 컬렉션)
위부터 이중섭 ‘은지화’(이건희 컬렉션), 도상봉의 ‘포도 항아리가 있는 정물’(이건희 컬렉션)
전시에는 국보와 보물 등 문화재 35점과 근현대 미술 130여 점이 나왔다. 단원 김홍도 같은 조선시대 화가부터 김환기, 천경자 등 근현대 화가에 이르기까지 유명 작가 97명의 작품들이 대거 포함됐다. 이 중 이중섭의 ‘은지화’(1950년대), 도상봉의 ‘정물 A’(1974년)와 ‘포도 항아리가 있는 정물’(1970년), 박영선의 ‘소와 소녀’(1956년)는 고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기증한 작품이다.

고려청자 ‘청자상감 포도동자무늬 주전자’
고려청자 ‘청자상감 포도동자무늬 주전자’
천재는 홀로 탄생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중섭에겐 고려청자가 직간접적 영향을 끼쳤다. 그림 재료를 살 돈이 없던 가난한 화가는 양담배를 싸는 종이에 입혀진 은박에 뾰족한 도구로 드로잉을 하는 은지화 기법을 창안했다. 은박 위에 긁힌 부분은 미세한 음각이 된다. 그 위에 물감을 바르고 닦으면 마치 고려청자의 상감기법처럼 물감이 파인 부분을 메우며 작품으로 탄생한다. 작품 ‘봄의 아동’(1952∼1953년)은 ‘청자상감 포도동자무늬 주전자’에 보이는 동자들의 문양을 평면적으로 펼쳐놓은 듯하다.

‘최순우가 김환기에게 보낸 연하장’ 중 김정희 ‘불이선란도’ 인쇄본
‘최순우가 김환기에게 보낸 연하장’ 중 김정희 ‘불이선란도’ 인쇄본
‘최순우가 김환기에게 보낸 연하장’에서는 추사 김정희의 힘도 살펴볼 수 있다. 김정희는 수묵으로만 간략하게 그림을 그린 조선시대 문인화의 대가다. 연하장에는 김정희 초상과 대표작 ‘불이선란도’의 인쇄본이 수록돼 당대 화가들의 김정희에 대한 존경을 확인할 수 있다. 김환기와 최순우, 이 연하장의 소장자 윤형근은 모두 1970, 80년대 한국 단색화의 선두주자다.

조선백자 ‘달항아리’
조선백자 ‘달항아리’
조선 백자는 우아함의 절정을 보여준다. 도상봉의 회화 ‘라일락’(1975년)은 달항아리 특유의 티 없는 깨끗함에 수더분한 흰 라일락꽃을 더했다. 박영선의 ‘소와 소녀’와 함께 서민적 성격의 백자가 세련된 가정에 어울리는 예술 작품으로 이미지가 변주됨을 볼 수 있다. 아호를 ‘도천(陶泉·도자기의 샘)’이라 지을 정도로 도자기를 좋아했던 도상봉은 ‘정물 A’ ‘포도 항아리가 있는 정물’ 등 정물화 곳곳에도 도자기 그림을 넣었다. 수백 년의 간격을 지닌 작품들이 한 공간에 공존하는 걸 바라보노라면, 과거와 현대의 경계가 흐릿해 보이기도 한다.

왼쪽부터 신윤복의 ‘미인도’, 장운상의 ‘청향’
왼쪽부터 신윤복의 ‘미인도’, 장운상의 ‘청향’
신윤복의 ‘미인도’(18세기 후반)는 1957년 전후 한국문화를 알리기 위해 기획된 ‘고미술전람회’ 출품작을 다룬 신문 기사를 통해 알려졌다. 작품은 공개되자마자 전통적인 한국 여성의 아름다움을 담은 작품으로 주목받았다. 이후 미인도는 우수한 전통으로 여겨지며 현대 작가들에게 자극을 줬다. 장운상이 ‘청향’(1973년)을 통해 온건한 형태로 미인도를 계승했다면, 천경자는 현대 여성 작가들의 정체성을 그림에 담았다. ‘탱고가 흐르는 황혼’(1978년)은 니코틴의 힘을 빌려 잠시나마 안정에 든 순간을 담담하게 묘사한 자화상 성격의 작품이다.

배원정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는 “소박하고 자연스럽다고만 알려진 한국적 미를 재정의하고 싶었다. 다양한 시대에 만들어진 성과들은 다면적이다. 한국미술사의 성과들이 사각지대 없이 다시 읽혔으면 한다”고 말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이 전시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이건희 컬렉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달 21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한국 근현대 작품 60여 점을 공개한다.

#국립현대미술관#한국 미술#한국의 미#dna: 한국미술#어제와 오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