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7월 기록적인 폭염으로 서울 지역 하천의 평균 최고 수온이 예년(1994~2020년 평균)에 비해 최대 3.1도까지 상승한 것으로 파악됐다. 같은 달 송파구 장지천에선 붕어 등 400마리의 어류가 폐사한 일이 있었는데, 급격한 수온 상승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추정했다.
5일 연구원에 따르면 서울시 하천은 예년에 비해 한강 본류의 경우 평균 수온이 2.2~2.3도 높아졌고, 지천은 2.2~2.8도 상승했다.
수온 상승 추세는 ‘평균 최고 수온’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한강(노량진)은 26.7도로, 예년(24.1℃)에 비해 2.6도 상승했다. 안양천의 평균 최고 수온은 31.2도로, 예년(28.1℃)보다 3.1도 상승했다. 이는 7월 폭염이 극심했던 1994년 이후 27년 만에 가장 높은 것으로, 최악의 폭염으로 기록된 2018년 7월 평균 최고 수온 30.2도 보다도 1.0도 높다.
수온 상승은 환경 변화에 민감한 소하천에서의 생태 건강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원은 최근 폭염 기간 동안 서울 소하천에서 발생했던 물고기 떼죽음 사고 두 건이 급격한 수온 상승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 중이다.
지난달 24일 송파구 장지천(수온 31.8℃)에선 붕어 등 어류 약 400마리가 폐사했다. 지난달 15일에는 구로구 목감천(수온 32.5℃)에서 잉어 등 어류 약 30마리가 폐사했다. 장지천과 목감천 모두 수심이 깊지 않은 도심 소하천으로, 수온 상승과 같은 급격한 수생태계 변화에 어류가 대응하기 취약한 환경이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한강 본류보다 지천의 수온 상승폭이 더 큰 이유에 대해 “지천은 한강에 비해 수심이 얕고 유량이 적어 기온 변화에 훨씬 민감하기 때문”이라며 “유량이 매우 적은 소하천이나 정체구간의 경우 기온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신용승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장은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이 하천 생태계까지 위협할 수 있다”며 “연구원은 앞으로 여름철 폭염의 영향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수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도 연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