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들이 2년 동안 4600만 t 이상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대비 9.3%를 감축했다.
3일 기업평가 사이트 CEO스코어는 국내 500대 기업 중 ‘저탄소 녹생성장 기본법’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의무가 있는 197곳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2018년 4억9844만 t에서 지난해 4억5220만 t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을 가장 많이 줄인 기업은 석탄화력발전소를 운영하는 한국남동발전으로 1505만 t의 배출을 줄였다. 포스코에너지는 625만 t을 줄여 민간기업 중 가장 많은 온실가스 배출을 줄였다.
온실가스 다량 배출 산업인 에너지 업종에서는 배출량이 2018년 1880만 t에서 지난해 1203만 t으로 36%가량 감소했다. 보험(―26%), 운송(―21.5%), 공기업(―18.5%), 건설·건자재(―16.6%), 상사(―15.9%) 등에서도 10% 이상 온실가스 배출이 감소했다.
반면 제약(29.6%), 통신(15.5%), 서비스(14.5%), 철강(7.4%), 조선·기계·설비(2.6%) 등의 업종에선 온실가스 배출량이 오히려 늘었다. 정부가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18년 대비 26.3%에서 40%로 확대하는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안을 확정해 기업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