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4일 세월호 참사 이후 1조여 원을 들여 구축한 재난안전통신망이 이태원 참사 당시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지적과 관련해 “정상 작동했다”면서도 “기관 간 활용은 미흡했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이날 설명자료를 내고 “재난통신망은 재난 발생 시 모든 지역에서 재난 관련 기관 간 상호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축돼 있다”며 “이번 사고 발생 시에도 정상 작동했고 장애 상황은 없었다”고 말했다.
재난통신망은 재난 관련 기관들이 재난 현장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할 수 있는 전국 단일 통신망이다.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소방과 해경·해군이 각기 다른 통신망을 사용해 서로 연락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재난통신망의 필요성이 부각돼 2018년부터 총 1조5000억 원을 들여 지난해 구축 완료했다.
행안부는 “이번 사고에서 경찰·소방 등 각 기관의 현장대응과정에서는 재난통신망을 현장지휘통신망으로 활발하게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29~30일 이틀간 이태원 지역에서 활용한 재난통신망 현황을 보면 행안부는 통화량 폭주 대비 이동기지국 1대를 지원했다. 단말기 대수는 경찰 1536대(사용시간 8862초), 소방 123대(1326초), 의료 11대(120초)다.
행안부는 다만 “사고 현장에서 초동대응 시 재난 기관 간 재난통신망 활용이 미흡했다”고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서울시청과 서울경찰청, 서울소방재난본부, 의료기관 등이 참여하고 있는 서울재난상황실 공동통화그룹에선 183초만 사용했다. 용산구청과 용산경찰서, 용산소방서, 의료기관 등이 들어가 있는 용산재난상황실 공동통화그룹에선 10초가량만 썼다.
앞서 이날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은 정부세종청사에 열린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경찰·소방·지자체 등 유관기관 간 소통이 가능한 4세대(PS-LTE) 무선통신기기가 이번 참사 때 활용되지 않은 게 맞느냐는 지적에 “지금까지 조사한 바로는 사실로 보인다”고 답했다.
방 실장은 “오랜 기간 재난통신망을 구축해 온 것은 사실”이라며 “효과적으로 구축된 재난통신망이 이런 재난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한 것에 대해 참으로 안타깝게 생각한다. 관련 조사 등도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도 “재난통신망은 기관 간 사고 현장에서의 통화가 주요한 목적”이라며 “버튼만 누르면 통화그룹에 포함된 기관들이 다 연결해서 통화할 수 있지만, 이번에는 그 부분이 작동이 잘 안됐다”고 했다.
김 본부장은 “기관 내부에서의 통화는 재난통신망으로 원활하게 이뤄졌다”며 “재난통신망 자체는 작동이 잘 됐지만 그룹으로 묶어둔 유관기관 통화 부분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이유는) 확인해봐야 한다. 현장에서 활용하는 훈련을 하도록 하고 있는데, 그런 부분이 좀 부족하지 않았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