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당시 두 딸을 남기고 참전했던 고(故) 송병선 하사의 유해가 70년 만에 확인됐다고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이 8일 밝혔다.
인천 옹진군에서 1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난 고인은 20세가 되던 해에 결혼해 딸 2명을 뒀다. 이후 둘째 딸이 갓 돌을 넘긴 1950년 12월 8일 고인은 국군 제7사단 3연대 소속으로 6·25 전쟁에 참전했다.
북한군의 공세로 강원도 원주 일대에 막대한 피해를 입은 국군은 1951년 3월 적을 포위·섬멸하기 위한 작전을 계획했다. 이에 따라 고인의 부대는 주공(主攻)을 맡아 강원도 평창 잠두산과 백적산을 거쳐 평창군 하진부리 방향으로 공격했다.
고인의 부대는 화력지원을 받으며 완강히 저항하는 적을 격퇴하고 평창군 속사리와 하진부리를 탈환했다. 하지만 고인은 이 전투에서 전사했다.
2020년 7월 강원도 평창군 신리에서 발굴 작업을 진행하던 육군 제36보병사단 장병은 고인의 왼쪽 팔뼈 일부를 식별했다. 이후 전문 발굴 인력이 투입돼 팔·갈비뼈 등 유해 7점, 전투화와 독수리 문양 단추 등 유품 11점을 발굴했다.
당초 유해 잔존율이 높지 않고 신원을 특정할 만한 유품이 발굴되지 않아 신원 확인에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유전자 검사 결과 고인의 장녀인 송효숙 씨가 가족관계로 추정됨에 따라 정밀검사를 실시했고 부녀관계를 확인했다.
송 씨는 “전쟁 당시 아버지의 손·발톱만 돌아와서 찾아봐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영영 못 찾을까 싶어 기도를 많이 했다”며 “국가와 국방부가 찾아주니 정말 감사하다”고 말했다.
고인의 신원확인을 통보하는 행사인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는 9일 인천에 있는 유족 자택에서 치러진다. 이날 1954년 고인에게 추서됐으나 전달되지 못했던 화랑무공훈장도 유가족에 전수된다.
국유단은 “6·25전쟁에 참전했지만 생사를 확인하지 못한 친인척이 있다면 국유단에 연락하거나 보건소, 보훈병원, 군 병원 등에서 실시하는 유전자 시료채취에 적극 참여해달라”며 “거동 불편, 생계 등으로 직접 방문이 어려운 경우 국유단이 찾아가 시료를 채취한다”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