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자국의 전 항공 노선에 대해 외국 항공사의 신규 취항 및 증편을 금지했다. 한일 갈등으로 일본 여행객이 줄어든 여파를 중국 노선으로 만회하려던 국내 항공업계가 이번 중국의 조치로 직격탄을 맞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14일 항공업계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중국 민항총국(CAAC)은 전날 국내 항공사들에게 이달 9일부터 10월10일까지 중국 전 노선에 대해 신규 취항, 정규 및 임시 증편, 부정기편 운항의 신청을 받지 않겠다고 통보했다. 다만 기존에 운항하던 중국 노선들은 정상적으로 운영된다.
중국 측은 “최근 늘어난 항공 운행 편에 대한 엄격한 통제가 필요하다”고 이유를 밝혔다. 하지만 국내 항공업계는 중국 측의 설명에 대해 납득하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이미 신규 노선을 허용한 상황에서 갑자기 일방적으로 금지한 것은 이례적”이라며 “홍콩 시위대 사태와 관련해 중국 정부가 홍콩과 중국 본토를 오가는 항공편을 조정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 항공업계는 5월 한중 운수권을 배분 받은 뒤 중국 노선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계획을 세워왔다. 특히 최근 일본 관광객 감소의 대안으로 중국 노선으로 수익성을 회복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대한항공과 에어서울은 9월 중 취항을 준비한 인천~장자계 노선이 당장 막히게 됐다. 제주항공도 인천~하얼빈, 부산~장자계, 무안~장자계 노선 취항이 제동이 걸렸다. 이스타항공도 9월 청주~장자계 노선, 제주항공도 인천~하얼빈, 부산·무안~장자계 노선 등의 운항이 불투명해졌다. 다음달 대구공항에서 장자계와 옌지로 출발하려던 티웨이는 14일 예약한 고객들에게 취소사실을 알리고 환불절차에 들어갔다.
현재로서는 중국 측이 통보한 취항 금지 기간인 10월10일 이후에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도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10월 이후에도 중국 정부가 다시 정상적으로 신청을 받는지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일단은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정부는 중국 당국에 갑작스런 신규 취항 및 증편 금지 결정에 대한 구체적인 사유를 파악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중국뿐 아니라 다른 국가에서도 이런 식의 대응은 없었던 것으로 안다.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라면서도 “다만 이번 중국 측 대응은 국내 항공사만이 아닌 전 세계 모든 항공사에 대한 조치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