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디지털아카이브
뉴스
포토
신문광고
신문만화
뉴스
오늘의 신문
호외Zip
기획·연재
인터뷰&
동아플래시100
포토
포토파노라마
테마컬렉션
SNS
신문광고
신문만화
고바우영감
나대로선생
포토파노라마
전체
1870년대
1880년대
1890년대
1900년대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최신순
오래된순
1994.07.08
김일성 사망
분단 49년 동안 북한을 통치했던 절대권력자 김일성 주석이 1994년 7월 8일 새벽 사망했다. 7월 25일로 예정됐던 남북정상회담은 무산됐다. 김 주석 사망 이후 북한은 3년 넘게 유훈통치를 지속하다가 1997년부터 김정일의 권력승계가 이뤄지면서 세습 지배체제를 구축했다.
1993.08.12
금융실명제 실시
김영삼 대통령은 1993년 8월 12일 오후 8시를 기해 전격적으로 금융실명제를 단행했다. 김 대통령은 “금융실명제가 실시되지 않고는 부정부패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없고 정치와 경제의 검은 유착을 단절할 수 없다”며 금융실명제 시행과 고위공직자 재산등록을 밀고 나갔다.
1993.08.07
대전엑스포 개최
국제적인 과학기술축제인 '93 대전엑스포'가 1993년 8월 7일부터 11월 7일까지 93일간 대전 유성구 대덕연구단지내 도룡지구에서 열렸다. 전세계 108개국과 33개 국제기구 및 국내 14개 시도, 19개 기업, 7개 정부기관 및 공기업이 참가했다. 관람객 수는 1400만여 명에 달했다.
1993.06.07
삼성 이건희 신경영 선언
삼성의 이건희 회장은 1993년 6월 7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마누라, 자식 빼고 다 바꾸라”며 ‘삼성의 질적 대전환’을 천명했다. 이 신경영 선언은 삼성그룹이 세계 경제의 중심 무대에 올라서는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평가받았다.
1993.02.25
김영삼 문민정부 출범
김영삼 제14대 대통령은 1993년 2월 25일 취임사를 통해 32년 만의 문민시대 개막을 선언했다. 문민정부는 출범 11일 만인 3월 8일 육군참모총장의 전역 조치를 시작으로 12․12군사반란 관련 장성 전역, 하나회(군부 내 사조직) 출신 등에 대한 대규모 숙군을 단행했다.
1992.08.24
중국과 수교
1992년 8월 24일 한국과 중국은 수교 성명을 교환하고 국교를 정상화했다. 노태우 대통령은 수교를 기념해 9월 28일 한국의 국가원수로는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해 양상쿤(楊尙昆) 중국 국가주석과 한반도 비핵화 문제 등을 논의했다. 대만과는 단교했다. 중국과의 경제 교류가 비약적으로 급증했다.
1991.09.18
남북한 동시 유엔가입
남북한은 1991년 9월 18일 새벽 4시 25분(한국 시간) 제46차 유엔총회에서 159개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유엔에 가입했다. 국명표기 알파벳 순서에 따라 북한은 160번째, 남한은 161번째 회원국이 됐다. 분단 46년 만이었다. 태극기와 인공기가 회원국 국기 게양대에 나란히 올라갔다.
1990.09.04
남북 첫 총리회담
1990년 9월 4일부터 7일까지 분단 45년 만에 처음으로 남북총리를 단장으로 한 고위급회담이 서울에서 열렸다. 남북고위급회담은 1992년 9월까지 모두 8차례 서울과 평양을 오가며 개최됐다. 1991년 12월 제5차 회담에서는 역사적인 남북불가침 합의서가 타결됐다.
1990.06.04
소련과 수교
1990년 6월 4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한국의 노태우 대통령과 소련의 고르바초프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열렸다. 9월 30일에는 뉴욕 유엔본부에서 양국 외무장관이 수교합의 공동코뮈니케에 서명했다. 12월 13일 노 대통령의 소련 방문으로 양국은 전후 냉전시대의 유산을 정리했다.
1990.01.22
3당 합당 민자당 탄생
1990년 1월 22일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 3당의 통합으로 거대 여당 민주자유당이 탄생했다. 통합 과정에서 노태우 대통령은 내각제 논의를 제안했다. 5월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 3인은 내각제 합의 각서에 각각 서명했다. 비공개를 전제로 서명했다는 각서 내용이 언론에 보도됐다.
1989.03.25
황석영 문익환 임수경 잇단 방북
1989년 3월 25일 북한 평양방송이 문익환 목사의 평양 도착 소식을 알렸다. 문 목사는 김일성 주석과 회담을 가졌다. 그보다 5일 전 작가 황석영 씨가 북한에 들어갔다. 6월 30일엔 한국외국어대 4학년 임수경 씨가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대표 자격으로 방북해 세계청년학생축전에 참가했다.
1988.11.02
여소야대 '5共' 청문회 개최
1988년 11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국회에서 '제5공화국 비리 청문회'가 열렸다. 1988년 4월 총선에서 야당이 승리하면서 5공 비리 청산에 대한 요구가 거셌다. TV로 생중계되는 가운데 야당은 일해재단 기금 조성, 광주민주화운동 유혈 진압, 언론통폐합 문제 등에 대해 집중 추궁했다.
1988.09.17
88서울올림픽 개최
제24회 올림픽이 1988년 9월 17일부터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서울에서 16일간 열렸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회원국 대부분인 160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로, 한국의 눈부신 발전상을 세계에 과시했다. 1만 3,000여 명이 참가한 대회에서 한국은 소련, 동독, 미국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1987.12.16
'1盧3金' 대선에서 노태우 당선
1987년 12월 16일 국민의 직선으로 치러진 대선에서 '노태우 후보'(1盧)와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후보'(3金)가 각축을 벌인 결과 노 후보가 35.6%를 얻어 당선됐다. 노태우 대통령은 1988년 2월 25일 '위대한 보통 사람들의 시대'를 역설하며 취임했다. 제6공화국이 공식 출범했다.
1987.11.29
KAL기 북한테러로 공중폭발
1987년 11월 29일 이라크 바그다드를 출발해 서울로 향하던 대한항공(KAL) 858편 여객기가 미얀마 상공에서 폭발해 115명과 함께 사라졌다. 바그다드에서 탑승한 북한 특수공작원 김현희와 김승일이 폭탄을 기내에 설치한 뒤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내린 것으로 밝혀졌다. 김현희는 체포됐다.
1987.06.29
6.29 선언
시민들까지 가세한 '독재타도', '호헌철폐' 시위가 계속되자 여당인 민정당 노태우 대표위원은 1987년 6월 29일 특별선언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평화적 정권 이양으로, 전두환 대통령에게 건의하는 형식이었다. 기존 헌법에 따라 선거를 치르겠다는 '4·13 호헌조치' 철회였다.
1987.06.09
6·10 민주항쟁
박종철 군 고문치사 사건이 발단이 된 국민의 저항은 전두환 대통령의 '4.13 호헌조치' 발표로 더욱 확대됐다. '6.10 국민대회' 하루 전인 1987년 6월 9일 연세대생 이한열 군이 시위를 벌이다 경찰의 최루탄에 맞고 숨졌다. 대학생과 시민들은 '독재타도', '호헌철폐'를 외치며 전국에서 시위를 벌였다.
1987.01.14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서울대생 박종철 군이 치안본부에 연행돼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조사받던 중 1987년 1월 14일 경찰의 고문으로 사망했다. 동아일보는 경찰의 거짓 발표인 '쇼크사'가 아니라 '고문치사'임을 알리는 증언들을 1월 16일 자에 특종 보도했다. 분노한 민심이 국민 저항으로 이어졌다.
1986.09.20
서울 아시안게임 개최
제10회 아시아경기대회가 1986년 9월 20일부터 10월 5일까지 27개국 4,800여 명의 선수가 참가한 가운데 서울에서 열렸다. 북한을 비롯해 공산권 국가들이 불참했지만 중국은 참가했다. 한국은 금메달 93개를 획득해 94개의 중국에 이어 2위를 차지했고, 일본은 3위에 그쳤다.
1986.03.13
신상옥-최은희 북한 탈출
영화감독 신상옥-영화배우 최은희 부부가 북한 공작원에 납치된 지 8년 만인 1986년 3월 13일 베를린영화제에 참석한 뒤 오스트리아 빈에서 미국 대사관으로 극적 탈출했다. 두 사람은 1978년 홍콩 방문 중 1월과 7월 차례로 납북됐으며 북한에서 17편의 영화를 만들었다.
1
2
3
4
5
6
7
8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