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제국을 멸망시킨 것은 당시 강대국으로 부상한 페르시아 제국이 아닌 야만인 무리들이었다.
영국 관료 출신인 로버트 쿠퍼의 저서 국가해체에 나오는 내용이다. 각국이 세계 곳곳의 혼란 상황에 적극적으로 공동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시사주간 이코노미스트 최신호(31일자)는 냉전시대 이후 실패한 국가의 사회악이 세계로 확산되면서 위기가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국가 간 경계가 모호해지고 교류와 이민이 늘면서 약소국의 빈곤, 테러, 마약, 내전 등의 혼란이 주변국은 물론 지리적으로 먼 국가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것.
잡지는 최근 미국이나 유럽에선 경쟁 관계에 있는 강대국보다 약소국과 위기지역의 분쟁, 범죄 등 불안한 정황이 자국 안보와 질서 유지에 더 큰 위협 요인이 된다고 전했다. 실제로 미국 국방부는 지난해 무정부, 실정() 등 통제불능 지역이 테러와 범죄조직을 활성화하는 토대라고 지적했다.
외교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이 911테러 이후 두드러졌다고 분석한다. 중동에서 벌어지던 위기와 충돌이 911테러를 계기로 지역 테두리를 벗어나 이제 미국, 유럽 등 전 세계에 위협이 돼 버렸다는 설명이다.
일부 지역의 사회악이 세계 문제로 확산된 대표 사례로는 소말리아 사태가 꼽혔다. 미국은 소말리아 사태 해결을 위해 1992년 유엔평화유지군 자격으로 군대를 파견했지만 2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이 지역에서 이슬람 무장세력 퇴치를 위해 군사 활동을 벌이고 있다.
소말리아의 혼란은 또 2006년 에티오피아의 침공을 야기했고 인근 해역인 아덴만을 중심으로 해적이 들끓는 계기가 됐다. 이로 인해 해적이 여러 국가의 선박을 공격하고 중국이 아덴만에 군함을 파견하는 등 국제사회 전체가 영향을 받고 있다.
아프리카 이민자가 많이 거주하는 프랑스 파리의 슬럼가 비예르르벨에서 2005년 대규모 소요 사태가 발생한 것도 사회악의 전파와 무관하지 않다.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등 국내 정세가 혼란한 약소국은 탈레반을 비롯한 국제 테러조직의 은신처가 되면서 서방 선진국 안보를 위협하는 근거지로 부상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세계 금융위기, 조류인플루엔자 확산 등 여러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의 원인도 같은 범주에 속한다고 설명했다.
남원상 surreal@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