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공산주의’도 ‘사회주의’도 팽개친 북한

‘공산주의’도 ‘사회주의’도 팽개친 북한

Posted August. 30, 2016 06:59   

Updated August. 30, 2016 07:21

中文

 사회주의란 말의 창시자는 프랑스의 생시몽이다. 그는 개인주의에 반대해서 사회주의란 말을 사용했다. 후에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에 반대해 공산주의란 말을 사용했을 때 이전의 사회주의는 유토피아적 공산주의로 격하됐다. 오늘날 공산주의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말한다.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사회주의는 공산주의로 가는 과도기로서만 의미를 지닌다.

 ▷북한 조선노동당이 1946년 제1차 당대회 이후 채택한 당 규약에는 공산주의란 말도 사회주의란 말도 없었다. ‘부강한 민주주의적 조선독립국가 건설’이 목표였다. 북한 정권을 수립한 뒤 처음 열린 1956년 제3차 당대회 이후에서야 마르크스-레닌주의와 함께 공산주의와 사회주의란 말이 당 규약에 등장했다. 1970년 제5차 당대회 이후 김일성 주체사상이 당 규약에 새로 등장했지만 어디까지나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나란히 함께했다.

 ▷1990년 소련 공산주의 붕괴 이후 마르크스-레닌주의와 공산주의는 거추장스러워졌다. 김정일은 2010년 제3차 당대표자 회의를 통해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주의 국가 건설을 당 규약에서 삭제했다. 김정은은 집권 뒤인 2012년 제4차 당대표자 회의에서 김일성-김정일주의를 새로운 지도사상으로 채택했다. 이제 사회주의란 말도 거추장스러워지는 모양이다. 북한에서 사로청으로 불리는 사회주의로동청년동맹이 만들어진 지 올해 70년이 된다. 1996년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으로 이름을 바꾼 이 조직은 최근 다시 이름을 김일성-김일성주의청년동맹으로 바꿨다.

 ▷북한은 공산주의도 사회주의도 결국 외래 사상이고, 어떤 외래 사상에도 기대지 않은 완전한 주체 의식에 다가가는 것이라고 주장할지 모르겠지만 이런 현상은 실은 사상적 고립의 심화에 불과하다. 과거 김일성 주체사상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조선 현실에 맞게 창조적으로 적용한 것이라고 선전됐으나 김일성-김정일주의에는 그런 것도 없다. 김일성-김일성 주의로는 다른 나라와의 가치 동맹도 불가능하다. 핵미사일에 대한 집착은 그런 고립감의 군사적 표현일 뿐이다.

송 평 인 논설위원 pis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