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외도를 그린 화가

Posted May. 23, 2019 07:41   

Updated May. 23, 2019 07:41

中文

 배우자의 외도는 결혼한 사람이 겪는 가장 파괴적이고 고통스러운 경험이지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문학이나 드라마, 영화뿐 아니라 미술에도 끊임없이 등장하는 단골 소재다.

 18세기 프랑스 화가 장 오노레 프라고나르가 그린 이 그림 역시 파리 귀족층의 외도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울창한 숲속에서 젊은 귀부인이 그네를 타고 있고, 덤불 속에 숨은 그의 젊은 정부는 거의 드러누운 자세로 그녀를 바라보고 있다. 부인의 휙 들린 치마 속을 향해 뻗은 남자의 팔과 공중에 벗어던진 여자의 슬리퍼는 두 사람 간의 성적 행위를 암시한다. 나이 든 남편은 아무 눈치도 못 채고 즐겁게 부인의 그네를 밀고 있다. 왼쪽의 큐피드 조각상은 외도의 비밀을 지켜주려는 듯 손가락으로 입을 가리고 있고, 가운데 아기 정령 ‘푸티’들도 이들을 말릴 생각이 없어 보인다. 정절을 상징하는 하얀 반려견만이 남편 앞에 서서 불륜을 경고하듯 크게 짖어대고 있지만 신경 쓰는 이는 아무도 없다.

 이 그림은 궁정 관료였던 생 쥘리앵 남작이 주문한 것으로 불륜 커플의 모델은 바로 본인 자신과 그의 정부다. 남작은 원래 주교가 그네를 미는 장면으로 다른 화가에게 먼저 의뢰했으나 그 화가가 위험한 주제에 경악해 거절하면서 젊은 프라고나르가 맡게 된 것이다. 영리한 프라고나르는 기꺼이 의뢰를 받아들이는 대신 주교 얼굴은 일반 남성으로 대체했다.

 쾌락주의와 관능미, 경쾌함까지 갖춘 그의 그림들은 루이 15세 및 그의 정부 퐁파두르 부인과 귀족층을 단숨에 매료시켰고 화가는 당시 유행하던 로코코 미술운동의 핵심 인물이 되었다.

 하지만 프랑스 혁명을 거치면서 그의 그림은 시대에 뒤떨어진 저급한 미술로 취급받았다. 후원자들이 단두대에서 사라지자 화가 역시 가난에 시달리다 비참하게 생을 마감했고, 그의 이름도 역사에서 잊혀져 갔다. 부도덕한 권력자의 취향에 재능을 바쳤던 화가의 최후는 어쩌면 배우자의 외도보다 더 고통스러운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