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대만 증시 역대 최대 폭락…‘R의 공포’ 심상찮다
Posted August. 06, 2024 07:51
Updated August. 06, 2024 07:51
한·일·대만 증시 역대 최대 폭락…‘R의 공포’ 심상찮다.
August. 06, 2024 07:51.
.
미국발 경기 침체 우려가 극단의 공포로 치달으면서 아시아 증시가 사상 최악의 ‘검은 월요일’을 맞았다. 중동에서는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 지도자의 암살을 둘러싸고 이란과 이스라엘의 정면충돌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한국 경제를 단숨에 복합위기 상황으로 몰아넣을 수 있는 초대형 악재들을 앞두고 만반의 대응 태세를 갖춰야 한다. 어제 한국 코스피는 8.77%(234.64포인트) 급락하며 단번에 2,400대로 주저앉았다. 팬데믹 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때를 뛰어넘는 역대 최대 폭락장을 기록한 것이다. 코스피 종목 중 가장 많은 98% 종목이 하락했고, 코스피 지수는 장중 10% 넘게 급락하며 2,400 선이 붕괴되기도 했다. 코스피·코스닥 시장의 거래를 일시 중단시키는 서킷브레이커도 4년 5개월 만에 발동됐다. 두 시장에서 어제 하루에만 사라진 시가총액이 235조 원에 달한다. 일본(―12.4%)과 대만(―8.35%) 증시 역시 사상 최대 하락 폭을 경신했다. 아시아 증시를 발작 수준의 패닉 장세로 몰아넣은 건 미국 경제의 경착륙 공포다. 7월 고용지표와 제조업 경기지표가 일제히 악화되면서 미 경제가 급속도로 얼어붙고 있다는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인텔을 비롯한 빅테크들의 2분기 실적 쇼크와 엔비디아의 차세대 제품 설계 결함 소식이 ‘인공지능(AI) 거품론’으로 이어지며 침체 공포를 증폭시켰다. 경기 방어를 위해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다음 달 기준금리를 한번에 0.5%포인트 내리는 ‘빅컷’에 나설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중국에 이어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인 미국의 경착륙이 현실화하면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경제의 충격이 불가피하다. 특히 대미 수출과 빅테크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는 더 큰 치명상을 입게 된다. 금융시장 불안이 가뜩이나 얼어붙은 국내 소비, 투자 심리를 위축시켜 실물경제로 전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여기에다 중동에선 이란의 보복 공격과 이스라엘의 맞불 대응 예고로 ‘5차 중동전쟁’ 위기까지 고조되고 있다. 중동 사태가 확전으로 이어지면 전 세계적으로 안정세를 보이던 인플레이션을 다시 자극할 공산이 크다. 대외 악재가 동시다발적으로 몰려들고 있지만 이에 대응할 정책 수단이 마땅치 않아 우려스럽다. 경기 부양을 위한 금리 인하 카드는 치솟는 집값과 가계 빚에 발목이 잡혀 있고, 2년 연속 세수 펑크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재정을 풀어 내수를 살리기도 쉽지 않은 형편이다. 더 큰 먹구름이 몰려오기 전에 정교한 재정·금융·통화 정책의 조합으로 위기 상황을 헤쳐 나가야 한다. 외부 충격이 경제와 민생에 끼칠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게 경제팀의 최우선 목표가 돼야할 것이다.
中文
미국발 경기 침체 우려가 극단의 공포로 치달으면서 아시아 증시가 사상 최악의 ‘검은 월요일’을 맞았다. 중동에서는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 지도자의 암살을 둘러싸고 이란과 이스라엘의 정면충돌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한국 경제를 단숨에 복합위기 상황으로 몰아넣을 수 있는 초대형 악재들을 앞두고 만반의 대응 태세를 갖춰야 한다.
어제 한국 코스피는 8.77%(234.64포인트) 급락하며 단번에 2,400대로 주저앉았다. 팬데믹 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때를 뛰어넘는 역대 최대 폭락장을 기록한 것이다. 코스피 종목 중 가장 많은 98% 종목이 하락했고, 코스피 지수는 장중 10% 넘게 급락하며 2,400 선이 붕괴되기도 했다. 코스피·코스닥 시장의 거래를 일시 중단시키는 서킷브레이커도 4년 5개월 만에 발동됐다. 두 시장에서 어제 하루에만 사라진 시가총액이 235조 원에 달한다. 일본(―12.4%)과 대만(―8.35%) 증시 역시 사상 최대 하락 폭을 경신했다.
아시아 증시를 발작 수준의 패닉 장세로 몰아넣은 건 미국 경제의 경착륙 공포다. 7월 고용지표와 제조업 경기지표가 일제히 악화되면서 미 경제가 급속도로 얼어붙고 있다는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인텔을 비롯한 빅테크들의 2분기 실적 쇼크와 엔비디아의 차세대 제품 설계 결함 소식이 ‘인공지능(AI) 거품론’으로 이어지며 침체 공포를 증폭시켰다. 경기 방어를 위해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다음 달 기준금리를 한번에 0.5%포인트 내리는 ‘빅컷’에 나설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중국에 이어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인 미국의 경착륙이 현실화하면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경제의 충격이 불가피하다. 특히 대미 수출과 빅테크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는 더 큰 치명상을 입게 된다. 금융시장 불안이 가뜩이나 얼어붙은 국내 소비, 투자 심리를 위축시켜 실물경제로 전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여기에다 중동에선 이란의 보복 공격과 이스라엘의 맞불 대응 예고로 ‘5차 중동전쟁’ 위기까지 고조되고 있다. 중동 사태가 확전으로 이어지면 전 세계적으로 안정세를 보이던 인플레이션을 다시 자극할 공산이 크다.
대외 악재가 동시다발적으로 몰려들고 있지만 이에 대응할 정책 수단이 마땅치 않아 우려스럽다. 경기 부양을 위한 금리 인하 카드는 치솟는 집값과 가계 빚에 발목이 잡혀 있고, 2년 연속 세수 펑크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재정을 풀어 내수를 살리기도 쉽지 않은 형편이다. 더 큰 먹구름이 몰려오기 전에 정교한 재정·금융·통화 정책의 조합으로 위기 상황을 헤쳐 나가야 한다. 외부 충격이 경제와 민생에 끼칠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게 경제팀의 최우선 목표가 돼야할 것이다.
热门新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