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안암동 새 교사는 강인한 석조 건축… 민족 독립의지 표상”

“안암동 새 교사는 강인한 석조 건축… 민족 독립의지 표상”

Posted November. 22, 2024 08:47   

Updated November. 22, 2024 08:47

中文

“직원과 학생들은 송현동 구교사에서 고별식을 하고 교기(校旗)와 ‘보성전문학교’라는 간판을 앞세우고 열을 지어 신교사로 향했다.”

1934년 9월 29일자 동아일보에 실린 기사의 일부다. 지금으로부터 90년 전 고려대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 교직원과 학생들이 안암동에 지어진 새 교사(현 고려대 본관)로 이전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당시 인촌 김성수 선생(1891∼1955)은 세계인에게 내세울 우리 민족의 민립대학을 세우겠다는 포부로 1932년 보성전문학교를 인수했다. 건축가 박동진(1899∼1981)에게 의뢰해 1934년 안암동 신교사(현 고려대 본관)를 준공했다.

“1934년 고려대의 안암동 시대 개막은 1920년대 좌절됐던 민립대학 설립의 꿈이 인촌 선생에 의해 다시 빛을 보게 된 역사적 사건입니다.” 19일 전화로 만난 한용진 고려대 근대교육연구소장은 이렇게 말했다. 근대교육연구소는 최근 고려대의 안암동 이전 90주년을 기념해 ‘안암 90주년: 1920∼30년대의 보성전문학교’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열기도 했다.

보성전문학교는 1905년 대한제국의 황실 예산을 담당한 내장원경(內藏院卿)을 맡았던 이용익이 세운 황립 학교에서 시작됐다. 이후 이용익이 일제의 탄압을 피해 러시아로 망명해 사망한 뒤 이용익의 손주 이종호를 거쳐 3·1운동 민족대표였던 천도교 교주 손병희에게 학교가 넘어갔다. 이후 구미 각국의 대학을 둘러보며 민립대학 구상을 다듬던 인촌이 1932년 보성전문학교를 인수했고, 안암동 일대에 새 캠퍼스를 마련했다.

고려대 캠퍼스 건물 중 가장 먼저 지어진 본관은 당시 흔하던 일제의 목조 건축과 달리 화강암이 사용됐다. 한 소장은 “건축가 박동진의 말처럼 일본 목조 건축의 유약성과 대비되는 화강암의 강인한 면모를 생각하면, 이는 민족 독립의 굳건한 의지를 표상한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특히 미국 듀크대의 배치와 건축 양식이 본관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고려대 본관은 1937년 준공된 옛 중앙도서관과 함께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1981년 사적으로도 지정됐다.

1938년 본관과 정문 사이에 트랙 필드 400m와 3만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스탠드를 갖춘 대운동장도 만들어졌다. 이는 1936년 손기정 선수가 마라톤 금메달을 딴 베를린 올림픽 메인 스타디움을 모델로 한 것으로, 동양 최대 규모였다. 한 소장은 “대운동장이 존재함으로써 대학이 단지 지성뿐 아니라 야성을 겸비할 수 있었다”며 “오늘날 고려대 캠퍼스의 근원이 되는 과거를 돌아보는 일은 단순 복고(復古)가 아니라 창신(創新)을 위한 원동력”이라고 했다.


사지원기자 4g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