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는 문화컨텐츠로 국가경쟁력을 겨루는 문화의 세기 다. 하지만 우리의 문화컨텐츠사업은 아직 걸음마단계다. 지난해 영화 방송 등 문화컨덴츠사업의 총 매출액은 국내총생산액(GDP)의 1%에도 못미쳤다. 정부가 문화컨텐츠개발 전문회사인 코리아뮤지엄 (한국전자박물관)을 설립해 이를 집중적으로 개발하기로 한 것은 그런 뜻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특히 디지털위성방송 출범등으로 2005년까지 1천여개의 방송채널이 새로 생겨나고 인터넷인구도 3천만명으로 늘어나는 상황에서 이에 따른 폭발적인 수요를 충족시킬 수있다는 점에서 새 회사에 거는 기대가 크다.
새 회사는 한국의 문화유산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비롯해 방송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등 고부가가치의 컨텐츠를 집중개발할 계획이라고 한다. 또 문화컨텐츠의 투자 마케팅 사업도 함께 펴기로 했다.
그러나 관주도로 출발하면서 정부가 백화점식으로 모든 것을 다 하려한다는등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같은 우려를 씻을 수 있는 방안들이 마련되야 할 것이다. 우선 회사설립때부터 민간영역의 역량을 충분히 활용 할 수있도록 민간의 전문가들이 활발하게 참여하게 해야 할 것이다. 국내는 물론 해외마케팅에 능력있는 전문가들도 적극 찾아야 한다. 정부는 그처럼 길을 닦으면서 점진적으로 개입폭을 줄여가는게 바람직하다. 문화컨텐츠를 연구하고 개발할 첨단 전문인력을 키우는 것도 중요하다. 아직 이분야의 전문인력이 크게 부족한게 우리의 현실이다. 이를위해 교교와 대학에 콘텐츠 특성화학과를 설치하고 전문프로듀서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도 개설할 계획이라니 지켜보겠다.
새로 설립되는 코리아뮤지엄 은 공공기금과 민간자본을 반반씩 투자해 초기자금 2000억원으로 출발한다고 한다. 이 계획이 성공하려면 민자유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그러자면 투자한후 몇 년만에 얼마정도의 수익이 발생할수 있는지 등 투자효과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있어야 하고 사업의 지속성에 대한 믿음이 있어야 한다. 아무런 전망도 없이 선뜻 투자부터 하는 사람이나 업체는 없을 것이다. 콘텐츠를 개발해 어떻게 활용하고 또 국내외 마켓팅은 어떻게 할것이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되야 한다. 코리아뮤지엄이 우리나라가 문화선진국으로 가는 전진기지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