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LG 등 주요 그룹 회장이 최근 잇따라 계열사 사장단 회의를 소집한 것을 둘러싸고 정부와 재계 사이에 미묘한 갈등 기류가 흐르고 있다.
정부 측은 이런 사장단 회의는 한국 대기업이 황제식 경영으로 되돌아가려는 신호로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비칠 수 있다며 부정적인 시각이다.
반면 재계에서는 정부식 논리라면 사실상 그룹을 해체하라는 이야기인데 총수 주재 사장단 회의는 실()보다 득()이 더 많다며 반박하고 있다.
재정경제부 고위관계자는 7일 전체 계열사 지분 중 개인지분을 12%만 가진 오너가 계열사간 출자 등을 통해 전체 계열사에 대한 지배력을 유지하면서 사장단 회의에서 개별 기업경영에 간여하는 것은 법적 권한을 넘어서는 행위에 해당한다고 경고했다.
삼성 이건희() 회장은 현재 63개 계열사 중 9개사의 등기이사 및 삼성전자의 대표이사로 등재돼 있다.
LG 구본무() 회장은 52개 계열사 중 3개사의 등기이사 및 전자부분 지주회사인 LG EI와 화학부문 지주회사인 LG CI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또 SK 최태원() 회장은 62개 계열사 중 5개사의 등기이사 및 SK의 대표이사이며 현대자동차 정몽구() 회장은 25개 계열사 중 6개사의 등기이사 및 현대차, 기아차, 현대모비스의 대표이사로 있다.
이에 대해 재계는 회장 주재 사장단 회의를 문제삼는 것은 현실적으로 엄연히 실체가 있고 한국경제 발전에 상당한 기여를 한 기업집단(그룹)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는 것이라고 반격하고 있다.
삼성구조조정본부의 관계자는 사장단 회의는 일본의 대기업이나 미국의 제너럴일렉트릭(GE)에도 있는 경영회의라며 경영간섭 목적이 아니라 계열사간의 정보교환이나 전략회의의 성격이 짙다고 말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성소미 기업정책팀장은 한국에서 기업집단이라는 실체를 부인할 수는 없으며 그룹의 특성에 따라 사장단 회의도 할 수 있다며 다만 그룹회장의 잘못된 경영판단으로 주주들이 피해를 볼 경우 주주들이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회장이 주요 계열사의 임원으로 등재한 뒤 합법적으로 권한을 행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