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기름값에 10여년 만의 폭염, 그런데 태풍까지.
재정경제부에서 물가정책 실무를 책임지고 있는 김봉익() 물가정책과장은 요즘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고 있다. 태풍 메기 때문이었다. 태풍 피해는 바로 농산물가격 폭등으로 연결된다. 편하게 잠잘 상황이 아니다.
김 과장은 지난달 말 강원 대관령에 있는 원예농업협동조합과 정선군에 있는 예미농협을 찾아갔다. 두 농협은 여름철 수도권과 충청권에 공급되는 배추 무 감자의 90%를 책임진다.
폭염 등으로 채소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직접 밭을 돌아다니면서 출하할만한 야채사냥에 나선 것. 농협에서 5t 트럭 500대를 지원받아 이달 2일부터 일주일 동안 배추수송작전을 진두지휘했다.
이 때문인지 8월 초 5t 트럭 한 대분에 800만원대까지 올랐던 배추값은 현재 400만500만원 수준으로 내렸다.
19일에도 김 과장과 물가정책과 사무관들은 태풍 메기 피해상황을 집계하느라 온종일 전화통을 붙들고 있었다.
김 과장은 농산물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6.6%나 된다며 과일이나 채소의 피해가 크면 당장 물가가 오른다고 말했다.
그러나 야채값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무 배추가 금()값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김 과장은 지난 주말 아버지 제사를 앞두고 부인에게서 배추값 얘기를 듣고 죄책감까지 느꼈다. 부인은 물김치를 담그기 위해서 배추를 사러 시장에 갔다가 너무 비싸 반포기만 사왔다고 말했다.
작년 이맘 때 포기당 1800원하던 배추가 4000원이라는 겁니다. 당신이 정부에서 물가정책을 담당한다는데 물가가 이렇게 뛰는 건 알고 있나요라고 말하는 것 같았습니다.
그나마 농산물은 발로 뛸 수는 있지만 국제시장에서 결정되는 고()유가는 손을 써 볼 수도 없어 답답할 뿐이다.
김 과장이 이처럼 고군분투하고 있는 것은 올해 하반기 물가가 그만큼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정부는 올해 물가를 3% 중반으로 묶어두겠다는 목표지만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7월에 비해 4.4%나 올랐다. 1년4개월 만에 4%를 넘어섰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7월 중 가공단계별 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원재료와 중간재물가지수는 111.6(2000년=100)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3.8% 상승했다. 이는 1998년 11월의 16.2% 상승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정부 사정에 밝은 한 민간 전문가는 8월 물가는 7월보다 더 올라 4%대 후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정부도 다음 달쯤 물가 목표를 3.54.0% 정도로 바꿀 수밖에 없을 겁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