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양강도 폭발사고가 알려진 직후 정부 관계자들은 숨가쁘게 움직였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관계자들은 주말인데도 비상 대기에 들어갔다. 일요일인 12일에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 주재로 NSC 상임위원회까지 열고 관련 대책을 숙의했다.
그러나 아직 사고의 성격과 정황이 명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는 게 정부의 고민이다. 한반도 기상악화로 위성사진으로도 파악이 어렵고 사고지역이 인적이 드문 곳이라 인적 정보도 부족한 상황이다.
다만 정부는 이번 사고가 대형 사고인 것만은 분명하나 핵실험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NSC 상임위원장인 정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폭발사고 징후가 있었다는 보고를 받았다. 그러나 핵실험과 관련된 어떤 징후도 포착한 바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사고의 정확한 내용이나 규모를 다 파악하지도 않은 상태임에도 핵실험은 아니다는 쪽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는 것은 핵실험 전후에 나타나는 징후가 보이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의 한 관계자는 핵실험을 하기 위해선 사전에 관련 장비를 설치하고 여러 가지 배선작업 등이 이뤄져야 하는데 그런 움직임이 포착된 것은 현재까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기상청 관계자도 지상이든 지하든 핵실험이 있었다면 관련 지진파가 감지됐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의 폭발이 일어났다는 9일 전후로 아무런 지진파가 측정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핵실험에서 볼 수 있는) 직경 34km의 버섯구름이 발생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서도 청와대의 한 고위 관계자는 사고 당시 구름이 조금 낀 날씨였고 여러 구름이 섞여 있었다. 정밀분석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국방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버섯구름은 핵폭탄뿐 아니라 대형 폭발에는 다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버섯구름은 폭발의 규모와 관련이 있는 것이지 폭발의 원인 또는 성격과는 상관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봉조() 통일부 차관은 기본적으로 이번 사고의 진실은 북한이 발표해야 한다고 본다. 통상 북한은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 사고 발생 사실을 발표해 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