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의 조류독감 발생과 관련해 북한에 정확한 정보 제공을 요구하고 북한의 요청이 있을 경우 대북() 방역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2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이봉조() 통일부 차관 주재로 통일부 농림부 보건복지부 국가정보원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등 관계 부처의 국장급 인사가 참여하는 대책회의를 열고 이 같은 방침을 정했다.
북한에 대한 방역 지원은 자위용()=이날 이 차관은 정부가 마련한 대책의 핵심은 북한에서 발생한 조류독감의 국내 유입 차단과 국내 방역체계 강화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북한과의 교류협력 활성화로 사람과 물자의 이동이 활발하기 때문에 북한 내 감염의 확산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세계보건기구(WHO) 등 국제사회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4월 용천역 열차 폭발 사고 때 북한의 요청을 기다리지 않고 적극적으로 나선 것과는 달리 이번 사안은 정확한 정보가 있어야 처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정부는 북한의 조류독감 발생설이 나돌던 12일부터 이미 경의선과 동해선 출입관리사무소를 통해 남북을 오가는 관광객과 개성공단 사업 관련 인원 및 차량에 대해 열감지카메라와 소독장비를 이용해 방역 작업을 벌여오고 있다. 또 북한과의 정기 선박 운항이 이뤄지고 있는 부산항과 인천항에서도 방역 작업을 벌이고 있다.
정부는 북한산 가금류()에 대한 무기한 반입 금지 조치를 조류독감이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유지할 예정이다.
남북대화 전망=정부는 판문점 연락관 접촉 등을 통해 북측에 정보 제공을 요청할 예정이지만 남북 당국 간의 정식 대화가 이뤄질 전망은 밝지 않다.
그렇지만 정부는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고, 북측의 지원 요청이 있으면이라는 전제하에 남북 실무자 간의 접촉을 추진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정부는 대북 방역 지원을 계기로 남북당국 간 대화가 이뤄지면 북한이 바라는 비료 지원 문제를 자연스럽게 협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남북 대화는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이 장기간 공전되면서 덩달아 교착 상태에 빠져 있다.
그동안의 대북 봄 비료() 지원 시기는 가장 빨랐던 것이 4월 16일이었고, 지원이 마무리 되는 시점은 대체로 6월 말이었기 때문에 남북이 마주앉아 비료 지원 문제를 논의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는 충분하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