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첼 바첼레트 대통령 취임식을 이틀 앞둔 이달 9일. 칠레 산티아고 시내 중심부에 자리 잡은 인터콘티넨털 호텔은 취임식 축하 사절단을 맞이하느라 분주했다.
사절단을 태우고 들어서는 차량에는 모두 현대자동차의 SONATA 마크가 선명했다. 흰색 쏘나타 160대가 취임식의 공식 의전 차량으로 지정됐기 때문이다.
1986년 이후 10년째 현대자동차의 칠레 딜러를 맡고 있는 길더마이스트사의 리카르도 레스만 사장은 칠레에서 한국 차의 위상을 보여 주는 것이라며 지난해 현대자동차 판매가 59%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올해는 도요타를 제치고 시보레에 이어 2위 자리를 차지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다음 달 1일로 한국과 칠레의 FTA가 발효된 지 만 2년이 되면서 파급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은 특히 자동차, 휴대전화, 캠코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 첨단 제품 중심으로 현지 시장에서 메이저로 자리를 잡아가는 추세다.
칠레시장 최강자의 꿈이 여문다
칠레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휴대전화 판매는 2003년 20만 대에서 FTA가 발효된 2004년 55만 대, 지난해에는 77만 대로 비약적으로 늘었다.
삼성전자 홍성직 칠레 법인장은 FTA가 발효되면서 6%였던 관세가 없어졌는데 이 부분을 제품 가격을 낮추는 대신 마케팅 비용으로 투입했다며 이런 전략이 칠레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데 기폭제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올해 1월 판매량만 보면 시장점유율 1위인 노키아를 이미 제쳤고 이대로 가면 연간 판매량 기준으로 칠레시장에서 최강자가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박남기 LG전자 법인장도 남미 국가 가운데는 칠레 시장에서 판매 성장세가 가장 가파르다며 대부분 첨단 테크놀로지 제품이어서 한국의 국가 이미지까지 함께 좋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산티아고의 시내 곳곳에는 삼성, LG, 현대차, 기아차의 로고가 눈에 띈다. 특히 부촌()으로 알려진 신시가지에는 한국 기업의 대리점들이 줄지어 자리 잡고 있다.
기현서() 주칠레 대사는 칠레에서는 일본보다 한국이 더 잘 알려져 있고 한국인에 대한 인상도 대단히 좋다면서 FTA 발표 이후 잦아진 교류와 한국 기업들의 제품 때문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런 분위기는 29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한국무역협회 주최로 서울 강남구 삼성동 무역센터에서 열린 한-칠레 FTA 2년 평가와 향후 과제 세미나에서도 확인됐다.
이날 발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대()칠레 수출 증가율은 2004년 4월 1일 FTA 발효 전 1년 동안 직전 1년 대비 9.6%였으나 발효 후 지난해 3월까지 1년차에 58.2%, 이후 올해 2월까지 2년차에 52.6%로 크게 늘었다.
칠레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의 점유율도 2003년 3.0%에서 2004년 3.1%, 2005년 3.6%로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다. 특히 자동차는 2004년 수입시장 점유율이 16.1%로 일본의 29.5%에 비해 많이 뒤처졌으나 지난해에는 점유율 23.3%로 일본(29.5%)을 바짝 따라붙었다.
한국산 휴대전화의 칠레 시장점유율은 2003년 9.5%에서 2004년 18.2%, 2005년 19.4%로 FTA 발효 이후 2년간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농업에 미치는 영향은 노란불
한국시장에서 칠레산 제품의 점유율도 2003년 0.59%에서 2004년 0.86%, 지난해 0.87%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수입관세가 해마다 낮아지다가 2014년에 완전히 없어지는 포도와 돼지 농가는 아직 불안해하기도 한다. 한국 포도주 산업이 기반을 잃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농협중앙회 박철재() 차장은 충북 지역을 중심으로 소규모 포도주 생산업체들이 늘어나는 추세였으나 값싼 칠레 와인이 대거 수입되면서 설 땅을 잃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최세균()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농산물 전체 수입시장에서 칠레산의 점유율은 2004년 0.4%에서 지난해 0.6%로 높아졌다면서 한-칠레 FTA의 농업에 대한 영향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