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독도=중간수역 한일어업협정 다시 도마에

독도=중간수역 한일어업협정 다시 도마에

Posted July. 18, 2008 08:07,   

ENGLISH

일본의 독도 도발로 김대중 정부 당시 일본과 맺은 한일어업협정이 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다.

일본 정부가 15일 중학교 사회과 해설서에 독도 영유권을 명기하기로 결정한 것과 관련해 허술한 한일어업협정이 빌미가 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한나라당 정몽준 최고위원은 17일 한일어업협정 당시 배타적 경제수역(EEZ) 기점을 울릉도로 설정했고 독도는 중간수역으로 했는데 당시 국제법상 개념이 아닌 중간수역 설정에 많은 분들이 잘못했다고 지적했다며 우리 정부가 한일어업협정 종료를 일본 정부에 정식으로 통보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17일 농림수산식품부와 국토해양부 등에 따르면 현재의 한일어업협정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일본 방문이 임박한 1998년 9월에 체결된 뒤 이듬해 1월 정식 발효돼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협정 체결 당시 일각에서는 DJ의 방일을 앞두고 한국 정부가 양국 정상회담의 걸림돌을 없애기 위해 서둘러 어업협정을 체결했다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이전에도 한일어업협정은 있었다. 양국이 한일어업협정을 최초로 맺은 것은 1965년으로 연안 12해리를 어업전관수역(배타적 권리를 갖는 곳)으로 정했다.

하지만 1994년 양국이 비준한 유엔의 해양법 협약에 따라 연안 200해리까지는 EEZ로 지정할 수 있어 새로운 한일어업협정이 필요하게 됐다. 양국 해안이 마주 보는 동해와 남해의 폭이 모두 400해리 미만이어서 어느 쪽도 일방적으로 200해리 관할권을 주장할 수 없었기 때문.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1998년의 신()한일어업협정, 즉 2차 어업협정이다.

쟁점은 EEZ 기점이었다. 양측은 한국의 EEZ 기점을 울릉도로 설정하고 독도를 이른바 중간수역에 두는 것으로 합의했다.

이후 중간수역은 독도 문제를 둘러싼 불씨가 됐다. 한국은 단순히 한국과 일본의 중간에 있는 수역으로 주로 해석한 반면, 일본은 소유가 명확하지 않은 잠정 수역으로 규정하면서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해 왔다.

이 때문에 한일어업협정을 둘러싼 독도 영유권 훼손 논란은 주기적으로 반복됐다. 교과서 파문 전에도 2006년 4월 일본 정부가 한국 측 EEZ에서 허가 없이 수로 측량을 실시하겠다고 밝힌 것도 독도를 국제적인 영토 분쟁지역으로 삼아보겠다는 도발 사례로 꼽힌다.

한일어업협정은 어업 이익 침해라는 또 다른 논란에도 휩싸였다. 한일어업협정 추가 협상에서 일본 측 어장에 입어()가 허용된 쌍끌이 어선 수가 축소 발표돼 당시 김선길 해양수산부 장관이 경질되는 등 이른바 쌍끌이 파동까지 벌어졌다.

한일어업협정과 독도를 둘러싼 논란은 반복됐지만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에서 우리 정부 당국자들은 한일어업협정과 독도 영유권은 무관하다는 논리를 일관적으로 펴왔다.

2005년 정치권을 중심으로 한일어업협정 폐지 및 재협상 주장이 나오자 당시 오거돈 해양부 장관은 한일어업협정은 독도 영유권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독도학회 회장인 신용하 이화여대 석좌교수는 최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2차 한일어업협정 전까지는 한국을 압박하는 외교수단으로 독도 영유권을 주로 사용했는데 협정 이후 독도를 침탈할 장기 정책을 입안해 집행하기 시작했다며 정부가 진정 용기가 있다면 협정 종료를 통보하고 재협상을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차지완 ch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