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오피니언] 한자교육

Posted January. 12, 2009 07:16,   

ENGLISH

해외에서 장기간 거주하다 귀국한 청소년들에게 국어를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방법이 있다. 필수적인 상용()한자를 먼저 익히게 하는 것이다. 우리말의 70%가 한자에서 왔기 때문에 한자를 알면 국어 공부가 한결 쉬워진다. 지도를 손에 넣으면 길 찾기가 수월해지는 것과 같은 이치다.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유럽권 언어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온 것이 많다. 고급 어휘일수록 그렇다. 라틴어는 이 일대를 오래 지배한 로마제국의 공용어였기 때문이다. 미국과 유럽의 학교들은 학생들이 아무리 난해하다고 불평해도 라틴어교육을 빼놓지 않는다.

우리 젊은이들은 한자에 취약하다. 오랫동안 한자교육에 소홀했던 탓이다. 서울대 입시 면접시험에는 한자 읽기 테스트가 들어 있다. 별로 어렵지 않은 한자인데도 머뭇거리는 학생이 많다고 한다. 한자를 써보라고 하면 더 힘들어 할 것이다.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문을 두드리는 젊은이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한자 실력이 이 정도라면 국어이해력도 그리 높지 않을 게 분명하다. 한글교육이 우선이지만 그렇다고 요즘처럼 한자를 배제하고서는 모국어 교육이 제대로 이뤄질 수 없다.

한자맹()은 국익의 손실을 자초하기도 한다. 같은 한자문화권인 중국과 일본의 인구만 해도 15억 명에 이른다. 한국은 어차피 두 나라와 일면 경쟁하고 일면 협력하며 살아갈 수밖에 없다. 그 도구라 할 중국어와 일본어를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으려면 먼저 한자를 알아야 한다. 어쩌면 더 중요한 일이 될 수도 있는 상대방의 문화를 파악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도 한자는 필요하다.

눈을 안으로 돌리면 우리의 문화유산들은 거의 한자로 되어 있다. 한자를 모르는 세대가 다수가 되면서 고전()과 같은 우리의 소중한 유산들이 무용지물이 된 것은 심각한 일이다. 그러다 보니 세대간 정신적 단절도 더 커졌다. 역대 국무총리 20명이 한자교육을 촉구하고 나섰다는 소식이다. 한자를 모르는 세대를 진심으로 걱정하는 그들의 충정을 이해할 만하다. 이제 와서 한글 전용파 국한문 혼용파로 국민을 편 가르는 것은 부질없는 일이다. 양측의 접점을 찾아 하루빨리 국어교육 내실화의 토대를 마련해줘야 한다.

홍 찬 식 논설위원 chansi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