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희 씨를 만난 다구치 야에코() 씨의 아들 고이치로() 씨가 한 살 때 어머니를 잃었다면 저는 두 살 때 아버지를 잃었습니다. 사람들은 잊었고 정부는 외면해왔습니다. 공식적으로 북한에 문제를 제기하는 일본 정부가 부러울 뿐입니다.
12일 서울 종로구 당주동 KAL납치피해자가족협회 사무실에서 만난 황인철 씨(42).
40년이란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으로 황 씨의 눈물을 막을 수는 없었다. 아버지와 함께했음을 기억나게 하는 것은 아버지가 친척 동생과 황 씨를 끌어안고 있는 빛바랜 사진 한 장뿐.
1969년 12월 11일 낮 12시 25분. 승무원 4명과 승객 47명을 태우고 강릉을 떠나 서울로 오던 비행기가 대관령 상공에서 고정간첩에 의해 북한으로 납치됐다. 황 씨의 아버지인 강릉MBC(당시 영동MBC) PD 황원 씨(당시 32세)도 비행기를 타고 있었다.
사건 발생 66일 만에 승객 39명(간첩 1명 제외)은 귀환했지만 승무원 4명 전원과 승객 7명은 북한에 잡혀 있게 됐다. 그 후 승무원 4명은 모두 북한에 살아 있는 것이 확인됐지만 황원 씨 등 승객 7명의 생사는 확인되지 않았다.
귀환한 승객들은 북한에서 사상교육을 받을 때 황 씨가 북한 교육원들을 이론적으로 논박하고 가곡 가고파를 선창했다가 교육원들에게 협박을 받기도 했다고 증언했다.
그리고 40년. 아버지는 돌아오지 못했다.
유년 시절 황 씨는 아버지의 납북 사실조차 몰랐다.
미국에 출장 갔다는데, 아버지에 대한 기억은 없고. 그저 어떻게 된 건가 싶었죠.
그는 초등학교 3학년이 되어서야 작은아버지에게서 아버지가 납북됐다는 사실을 들었다. 친구들에게 이 사실을 말했다가 간첩의 아들이라고 놀림을 받기도 했다.
그땐 워낙 반공교육이 투철했으니 납북이라고 해도 월북으로 받아들이는 시점이었죠.
이후 황 씨는 철저하게 자신을 숨겨야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