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이 1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외국인이 국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를 넘어선 만큼 대한민국도 이제 본격적인 다문화 시대에 진입했다고 보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올 5월 1일 기준으로 외국인 주민은 110만6884명으로 조사를 시작한 2006년 이후 처음으로 100만 명을 돌파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올 5월 1일 현재 주민등록인구(4959만3665명)의 2.2%에 해당하는 수치로 지난해(89만1341)보다 24.2%증가했다.
이번 조사에서 외국인으로 분류한 기준은 국내에 합법 여부를 가리지 않고 90일 넘게 체류하는 외국인, 한국 국적을 취득한 외국인과 그 자녀 등이다.
행안부는 올해 조사에서 처음으로 가족관계등록정보시스템을 이용해 연령대별 외국인자녀 현황을 파악한 결과 10만7689명의 외국인 자녀들이 한국에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만 6세 이하 어린이는 59%인 6만4040명이었다.
전북대 사회학과 설동훈 교수는 외국인 100만 명, 그들의 자녀 10만 명 돌파는 이제 한국이 본격적인 다문화 사회에 진입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해준 것이라며 이제 많은 국민이 외국인과 더불어 사는 것을 긍정적 현상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적별로는 중국이 56.5%로 가장 많았다. 베트남과 필리핀 등 동남아 출신이 21.2%, 미국 5.4%, 남부아시아 3.9%, 일본 2.4% 등의 순이었다. 작년과 비교해서는 미국이 119% 늘어나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서울에 30.3%가 거주해 외국인이 가장 많이 사는 도시로 꼽혔다. 이어 경기 29.3%, 인천 5.6% 등 수도권에 65.1%가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는 경남 5.8% 충남 4.1% 경북 3.7% 등이었다.
한국인과 결혼을 해서 국내에 들어온 이민자도 12만5673명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결혼 이민자 국적 별로는 중국이 54.8%로 가장 많았다. 이어 동남아 32.1%, 일본 4%, 몽골 1.8% 순이었다. 결혼 이민자는 여성이 대다수지만 남성 외국인도 12.1%를 차지했다.
국내 거주 외국인 중 한국 국적을 취득한 비중은 16.4%(18만1414명)로 대부분 결혼에 따른 것으로 행안부는 분석했다. 나머지 83.6%(92만5470명)는 한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설 교수는 시민 의식이 많이 개선됐지만 피부색으로 차별하려는 일부 잘못된 견해가 외국인들의 한국 정착을 가로막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