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깨나 쓰는 사람을 주먹이나 어깨라고 부르는 것은 신체의 한 부분을 통해 어느 사람을 지칭하는 제유법()적 표현이다. 일제강점기에는 깡패란 말이 없었다고 한다. 당시의 김두한은 어깨 혹은 일본어로 가다 정도로 불렸다. 깡패는 광복 후 사회 혼란을 틈타 정치권력과 결탁해 폭력을 휘두르던 동대문파 이정재 같은 이들을 지칭하기 위해 처음 쓰였다. 깡패는 영어 갱스터(gangster)에서 온 깡과 한자어로 패거리를 뜻하는 패()를 결합한 말이라고 하지만 은어의 어원은 늘 그렇듯이 정확하지는 않다.
양아치는 깡패와는 계보가 다르다. 양아치는 거지를 뜻하는 동냥아치를 줄인 말이라고 한다. 거지가 불쌍하면서도 못됐다는 이미지가 생긴 것은 19세기 때 비롯됐다. 세도정치로 피폐해진 극빈층이 장터에 떼로 몰려다니면서 장사를 방해하는 수법으로 먹을 것을 뜯어냈다. 떼거지란 말이 이 때 생겼다. 근대화 이후에도 떼거지는 넝마주이 형태로 살아남았다. 이런 거지를 양아치라고 불렀고, 오늘날 체격으로나 뭐로나 깡패도 못되는 주제에 깡패 짓 하고 다니는 불량배를 양아치라고 부르게 됐다.
그제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안조정소위에서 박근혜표 창조경제 예산의 한 항목을 둘러싸고 갑론을박이 이어지던 중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이 책상을 내리치며 그만하세요라고 언성을 높이자 새정치민주연합 강창일 의원이 왜 얘기하는데 시비를 걸고 그래? 저 깡패야. 어디서 책상을 쳐. 저런 양아치 같은이라고 받아쳤다.
누가 시비의 원인을 제공했는지 따지자면 끝이 없다. 강 의원의 욕은 김 의원이 책상을 내리친 데서 비롯됐고, 김 의원이 책상을 내리친 것은 새정치연합 간사인 이춘석 의원이 불필요하게 정회를 요청하며 태업하는 태도를 보여서 그런 것이고, 이 의원은 새누리당이 무리한 예산을 요구해 그랬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도 누구의 잘못이 더 크냐고 캐물을 수도 있겠지만 국민의 눈엔 누가 깡패고 누가 양아치냐 따지는 것으로 밖에 비치지 않는다.
송 평 인 논설위원 pis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