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세 노장의 노히트 노런이 의미하는 것은?
Posted September. 06, 2019 07:30,
Updated September. 06, 2019 07:30
36세 노장의 노히트 노런이 의미하는 것은?.
September. 06, 2019 07:30.
.
류현진의 갑작스러운 부진으로 내셔널리그 사이영상 레이스는 오리무중이 됐지만, 아메리칸리그에서는 휴스턴 에이스 저스틴 벌랜더(36)가 굳히기에 나섰다. 2일 개인 통산 세 번째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 노히트 노런을 세 번 이상 기록한 투수는 100여 년 메이저리그 역사상 6명밖에 없다.
‘한물간 것 아니냐’는 우려를 사던 벌랜더는 2017년 휴스턴으로 이적하면서 제2의 전성기를 달리고 있다. 휴스턴은 데이터 과학으로 그를 부활시켰다. 초고속 카메라로 슬라이더를 정밀 분석해 회전축을 교정했다. 그립(공을 잡는 모양)을 바꿔 속도는 줄이면서도, 낙차는 크게 한 것이 핵심이었다. 이후 벌랜더는 탈삼진의 절반가량을 슬라이더로 잡아내며 부활했다. 그가 살아나면서 휴스턴은 그해 사상 첫 월드시리즈 우승컵을 안았다.
벌랜더뿐만 아니었다. 2013년 콜린 맥휴는 단 1승도 없이, 평균자책점이 10점이 넘는 답이 없는 투수였다. 그런데 휴스턴이 그를 영입했다. 빅데이터 시스템으로 회전수를 분석했더니, 맥휴의 커브 회전수가 월등했다는 걸 파악했던 것이다. 휴스턴은 맥휴에게 직구 대신 커브 위주로 승부하라고 주문했다. 2014년 11승, 2015년엔 19승을 거뒀다. 미운 오리 새끼가 백조가 됐다.
데이터 분석, 요즘 누구나 하는 것 아니냐고 말한다. 하지만 하는 것과 성과를 내는 것은 다른 문제다. 휴스턴은 2010년대 들어 지구 최하위를 전전하던 최악의 팀이었다. 2011년 다국적 컨설팅회사 맥킨지 출신의 제프 루노를 영입하면서 데이터에서 돌파구를 찾는다.
하지만 생각만큼 쉽지 않았다. 기존 문법에 익숙한 구성원들의 저항이 컸던 것이다. 가령 데이터를 분석해 수비 시프트(타자에게 맞춰 수비수 위치를 조정하는 것)를 추구할 때, 투수들이 극렬히 반대했다. 평범한 내야 땅볼이 시프트 탓에 안타가 된 실패 사례를 강조했다. 루노 단장은 “반발이 커지면서 어느 시점에 모든 것들이 원래 있던 자리로 돌아갔다”고 밝혔다. 이런 이유로 미식축구, 농구, 축구 등 다른 종목 구단들도 2∼3년 만에 데이터 정책을 포기하기도 했다.
엄청난 데이터도 공감 없이는 효과가 없었다. 루노 단장은 선수들의 행동을 바꾸려면 그게 왜 이득이 되는지 이해시켜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성공 사례를 만들자 몇몇 선수가 도구(데이터 분석)를 옹호하기 시작했고, 나머지 선수도 데이터 분석에 귀를 기울였다. 구단은 프로그래밍 능력을 갖춘 야구인을 코치로 고용했고, 선수들은 데이터로 생각하게 됐다. 문화가 형성됐다. 그렇게 해서 맥휴가 급부상하고, 벌랜더가 부활하고, 팀이 우승했다.
올 시즌 체면을 단단히 구긴 프로야구 롯데가 데이터 기반 운영으로 변신을 하겠다고 나섰다. 제조업부터 서비스업까지 웬만한 기업은 물론이고 정부도 4차 산업혁명을 앞세우며 데이터를 강조한다.
그런데 우리는 아직 데이터를 기술로만 생각한다. 장비와 기술자만 갖다 놓으면 될 거라고 믿는다. 휴스턴의 사례를 보면 데이터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다. 조직원 전체가 호흡하는 하나의 문화다. 데이터를 중심으로 조직을 재구성해야 하는 것이다. 너무나 굳건한 벌랜더와 그를 부활시킨 휴스턴. 우리가 한번 진지하게 고민해 볼 부분이다.
ENGLISH
류현진의 갑작스러운 부진으로 내셔널리그 사이영상 레이스는 오리무중이 됐지만, 아메리칸리그에서는 휴스턴 에이스 저스틴 벌랜더(36)가 굳히기에 나섰다. 2일 개인 통산 세 번째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 노히트 노런을 세 번 이상 기록한 투수는 100여 년 메이저리그 역사상 6명밖에 없다.
‘한물간 것 아니냐’는 우려를 사던 벌랜더는 2017년 휴스턴으로 이적하면서 제2의 전성기를 달리고 있다. 휴스턴은 데이터 과학으로 그를 부활시켰다. 초고속 카메라로 슬라이더를 정밀 분석해 회전축을 교정했다. 그립(공을 잡는 모양)을 바꿔 속도는 줄이면서도, 낙차는 크게 한 것이 핵심이었다. 이후 벌랜더는 탈삼진의 절반가량을 슬라이더로 잡아내며 부활했다. 그가 살아나면서 휴스턴은 그해 사상 첫 월드시리즈 우승컵을 안았다.
벌랜더뿐만 아니었다. 2013년 콜린 맥휴는 단 1승도 없이, 평균자책점이 10점이 넘는 답이 없는 투수였다. 그런데 휴스턴이 그를 영입했다. 빅데이터 시스템으로 회전수를 분석했더니, 맥휴의 커브 회전수가 월등했다는 걸 파악했던 것이다. 휴스턴은 맥휴에게 직구 대신 커브 위주로 승부하라고 주문했다. 2014년 11승, 2015년엔 19승을 거뒀다. 미운 오리 새끼가 백조가 됐다.
데이터 분석, 요즘 누구나 하는 것 아니냐고 말한다. 하지만 하는 것과 성과를 내는 것은 다른 문제다. 휴스턴은 2010년대 들어 지구 최하위를 전전하던 최악의 팀이었다. 2011년 다국적 컨설팅회사 맥킨지 출신의 제프 루노를 영입하면서 데이터에서 돌파구를 찾는다.
하지만 생각만큼 쉽지 않았다. 기존 문법에 익숙한 구성원들의 저항이 컸던 것이다. 가령 데이터를 분석해 수비 시프트(타자에게 맞춰 수비수 위치를 조정하는 것)를 추구할 때, 투수들이 극렬히 반대했다. 평범한 내야 땅볼이 시프트 탓에 안타가 된 실패 사례를 강조했다. 루노 단장은 “반발이 커지면서 어느 시점에 모든 것들이 원래 있던 자리로 돌아갔다”고 밝혔다. 이런 이유로 미식축구, 농구, 축구 등 다른 종목 구단들도 2∼3년 만에 데이터 정책을 포기하기도 했다.
엄청난 데이터도 공감 없이는 효과가 없었다. 루노 단장은 선수들의 행동을 바꾸려면 그게 왜 이득이 되는지 이해시켜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성공 사례를 만들자 몇몇 선수가 도구(데이터 분석)를 옹호하기 시작했고, 나머지 선수도 데이터 분석에 귀를 기울였다. 구단은 프로그래밍 능력을 갖춘 야구인을 코치로 고용했고, 선수들은 데이터로 생각하게 됐다. 문화가 형성됐다. 그렇게 해서 맥휴가 급부상하고, 벌랜더가 부활하고, 팀이 우승했다.
올 시즌 체면을 단단히 구긴 프로야구 롯데가 데이터 기반 운영으로 변신을 하겠다고 나섰다. 제조업부터 서비스업까지 웬만한 기업은 물론이고 정부도 4차 산업혁명을 앞세우며 데이터를 강조한다.
그런데 우리는 아직 데이터를 기술로만 생각한다. 장비와 기술자만 갖다 놓으면 될 거라고 믿는다. 휴스턴의 사례를 보면 데이터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다. 조직원 전체가 호흡하는 하나의 문화다. 데이터를 중심으로 조직을 재구성해야 하는 것이다. 너무나 굳건한 벌랜더와 그를 부활시킨 휴스턴. 우리가 한번 진지하게 고민해 볼 부분이다.
Most View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