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의대정원 확대 상명하달식 밀어붙이다 의사 파업 부른 불통정부

의대정원 확대 상명하달식 밀어붙이다 의사 파업 부른 불통정부

Posted August. 08, 2020 07:40,   

Updated August. 08, 2020 07:41

ENGLISH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안에 반발해 어제 하루 전국 전공의 1만 6000여 명 중 80%가 파업을 벌였다. 의료현장에서는 환자들의 대기시간이 길어지고 일부는 헛걸음을 하는 등 불편을 겪었다. 14일에는 전국 개업의들을 중심으로 한 대한의사협회 총파업이 예고돼 있어 가뜩이나 코로나19 사태로 과부하가 걸린 의료전선에 빨간불이 켜졌다. 의사들의 집단휴진은 2000년 의약분업 사태 이후 20년만이다.

 지난달 23일 정부가 내놓은 2022학년도부터 의대 입학 정원을 늘려 10년 동안 4000명의 의사를 추가 양성하겠다는 방안에 의료계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의료인력 과잉을 초래하고 의사의 질을 떨어뜨린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의사들이 의대정원확대에 무작정 반대하는 것은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서울은 지난해 인구 1000명당 의사가 3.12명으로 OECD 평균(3.5명)에 근접했지만 경북(1.38명), 충남 (1.5명) 등 지역으로 가면 의료인력의 격차가 심각하다. 진료과목별로도 의사가 태부족한 분야가 넘쳐난다. 외과 등 필수분야 의대 정원 증원을 무작정 반대한다면 국민의 이해를 받기 어렵다. 더구나 코로나 보건 위기 상황에서 국민 건강을 볼모로 한 집단행동은 시기적으로도 명분을 얻기 어렵고 ‘밥그릇 싸움’으로 비칠 소지가 크다.

 다만 의사들의 행동을 집단이기주의라고 비판하기에 앞서 정부가 일하는 방식의 문제점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번 의대정원 확대안도 의사결정 과정에서 당사자나 전문가와의 충분한 협의와 준비 과정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발표됐다. 의료계에서 터져나온 “공청회 한번 없이…”라는 불만이 상황을 대변해준다. 코로나 현장에서 헌신해온 의사들이 이같은 추진 방식에 배신감을 느꼈을 법도 하다. 파업을 한다니까 그제서야 “대화하자”며 자제를 촉구하는 자세로는 상대를 설득하기 어렵다.

 의료전달체계나 건강보험 체계 등의 과제는 의료계와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짜내도 풀기 어려운 난제들이다. 의료계 반발로 도입이 지연되고 있는 비대면진료(원격진료) 문제도 해결이 시급하다. 의사단체도 정부도 국민의 건강을 위해 무엇이 최선인지를 우선 순위에 놓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합리적 대안을 찾아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