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나라 말기 누르하치가 여진족을 통일하고, 명나라를 공격해 요동을 차지했다. 모문룡이 지휘하는 명나라 패잔병과 유민 일부는 조선으로 들어와 평안북도 앞바다에 있는 가도를 무단 점거했다. 조선은 명과의 관계도 있고, 후금을 견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서 모문룡을 지원했는데, 정작 후금과 전투는 벌이지 않고 조선에서 군량과 재물을 뜯어내는 골칫거리가 되었다.
모문룡이 죽자 부장이던 공유덕과 경중명이 반란을 일으켜 산둥(山東)을 점령했지만 명군의 반격에 밀려났다. 그러자 이들은 후금에 투항하기로 한다. 배를 타고 발해만으로 철수한 이들은 명군의 추격이 심해지자 압록강 하구로 진입해 지금의 단둥(丹東) 지역으로 상륙하려고 했다. 이때 느닷없이 의주부윤 임경업이 지휘하는 조선군이 출현해 이들을 공격했다. 비록 패잔병 상태였지만, 모문룡과 다르게 공유덕과 경중명은 뛰어난 장수였다. 둘은 탈출에 성공했지만, 조선군의 공격은 매서워서 이들에게 큰 타격을 입혔다.
훗날 임경업은 척화파의 우상이 되었다. 지나친 친명주의자라고 그를 못마땅하게 보는 시각도 있다. 그러면 압록강 전투는 타국의 전쟁에 쓸데없이 끼어든 것일까? 정치색을 떠나서 군인은 자신에게 주어진 의무에 충실해야 한다. 공유덕 군은 조선의 영역을 침입했고, 오랫동안 조선을 괴롭혔으며, 또 앞으로 침공할 자들이었다. 병자호란 후에 청나라가 제일 높이 평가하고, 자신들의 편으로 끌어들이고 싶어 했던 장군도 임경업이었다. 임경업은 탈출해서 명나라로 갔지만, 군인으로서의 자세와 능력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일 것이다.
군인의 사명은 국토와 국민을 수호하는 것이며, 국토와 국민이 위협을 받을 때 전투를 회피해서는 안 된다. 무조건 싸워서 해결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군의 정신과 책임감이 살아 있는 나라임을 과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작은 분쟁이 전쟁으로 확대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국민과 군이 비겁하고 나약해지면 반드시 전쟁을 불러들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