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총련에도 통일 언급 금지령… “우리 민족끼리” 어디 갔나
Posted September. 04, 2024 07:53,
Updated September. 04, 2024 07:53
北, 총련에도 통일 언급 금지령… “우리 민족끼리” 어디 갔나.
September. 04, 2024 07:53.
.
북한이 일본 내 친북 재일동포 단체인 재일조선인총연합회(총련)에게 통일 활동 금지 등 13개 항목의 지시서를 전달했다고 한다. 총련에 우호적인 한국 인사조차 관계를 차단하고, 김일성의 발언일지라도 동족을 떠올린다면 인용을 금지하고, 통일이나 삼천리 금수강산 같은 표현이 담긴 교가는 가사를 수정하라는 것 등이 포함됐다. 북한은 또 총련계 고교 현대사 교과서 가운데 연방제 통일방안 등이 담긴 ‘제3편’은 빼놓고 수업할 것도 지시했다.
이번 지시는 북 정권의 영향력이 닿는다면 어떻게든 한국과의 연결고리를 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북한이 지난해 꺼내든 ‘남북은 적대적 두 국가’ 정책의 연장선에서 나왔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올 초 한국을 “불변의 주적” “제1의 적대국”이라며 헌법에까지 명기할 것을 지시했다. 여동생 김여정은 우리를 남조선 대신 ‘대한민국’으로 지칭하기 시작했다. 남과 북이 통일을 지향하는 특수 관계가 아니라 통상의 국가 대 국가라는 뜻일 것이다.
김정은의 노선변경에 따라 입만 열면 앞세우던 ‘우리 민족끼리’ 표현은 사라졌고, 통일전선부는 이름이 노동당 중앙위 10국으로 바뀌었고, 조평통은 3년 넘게 흔적조차 안 보인다. 세습왕조답지 않게 김일성이 평양에 세운 조국통일3대헌장 기념탑도 철거됐다. 아이들 이름에서 통일, 한국, 하나가 쓰였다면 개명할 것도 강요된다고 한다. 문재인-김정은 두 정상이 3차례나 만나 같은 겨레임을 확인했다는 회담이 무색할 정도로 2019년 하노이 북미 핵협상이 깨진 뒤론 남북관계의 단절이 가팔라졌다. 당시 회담에선 ‘핵을 일부만 포기하고 경제제재를 푼다’는 북한의 속내가 드러났다.
북한은 이후 북-미 외교를 통한 돌파구 마련 대신 북-러 군사협력을 중심으로 체제 안보의 축을 바꿨다는 평가를 받는다. 오랜 맹방이던 중국과 다소 소원해진 반면 우크라이나 전쟁을 매개로 러시아와 준 군사동맹 관계를 맺었다. 문제는 평양의 노림수가 무엇인지, 지금 같은 고립 행위가 얼마나 지속될 지 확신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오물풍선을 날리다가 언제 어디서 국지적 군사도발에 나설지 알 수 없는 지경인 것이 지금의 한반도 현실이다.
ENGLISH
북한이 일본 내 친북 재일동포 단체인 재일조선인총연합회(총련)에게 통일 활동 금지 등 13개 항목의 지시서를 전달했다고 한다. 총련에 우호적인 한국 인사조차 관계를 차단하고, 김일성의 발언일지라도 동족을 떠올린다면 인용을 금지하고, 통일이나 삼천리 금수강산 같은 표현이 담긴 교가는 가사를 수정하라는 것 등이 포함됐다. 북한은 또 총련계 고교 현대사 교과서 가운데 연방제 통일방안 등이 담긴 ‘제3편’은 빼놓고 수업할 것도 지시했다.
이번 지시는 북 정권의 영향력이 닿는다면 어떻게든 한국과의 연결고리를 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북한이 지난해 꺼내든 ‘남북은 적대적 두 국가’ 정책의 연장선에서 나왔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올 초 한국을 “불변의 주적” “제1의 적대국”이라며 헌법에까지 명기할 것을 지시했다. 여동생 김여정은 우리를 남조선 대신 ‘대한민국’으로 지칭하기 시작했다. 남과 북이 통일을 지향하는 특수 관계가 아니라 통상의 국가 대 국가라는 뜻일 것이다.
김정은의 노선변경에 따라 입만 열면 앞세우던 ‘우리 민족끼리’ 표현은 사라졌고, 통일전선부는 이름이 노동당 중앙위 10국으로 바뀌었고, 조평통은 3년 넘게 흔적조차 안 보인다. 세습왕조답지 않게 김일성이 평양에 세운 조국통일3대헌장 기념탑도 철거됐다. 아이들 이름에서 통일, 한국, 하나가 쓰였다면 개명할 것도 강요된다고 한다. 문재인-김정은 두 정상이 3차례나 만나 같은 겨레임을 확인했다는 회담이 무색할 정도로 2019년 하노이 북미 핵협상이 깨진 뒤론 남북관계의 단절이 가팔라졌다. 당시 회담에선 ‘핵을 일부만 포기하고 경제제재를 푼다’는 북한의 속내가 드러났다.
북한은 이후 북-미 외교를 통한 돌파구 마련 대신 북-러 군사협력을 중심으로 체제 안보의 축을 바꿨다는 평가를 받는다. 오랜 맹방이던 중국과 다소 소원해진 반면 우크라이나 전쟁을 매개로 러시아와 준 군사동맹 관계를 맺었다. 문제는 평양의 노림수가 무엇인지, 지금 같은 고립 행위가 얼마나 지속될 지 확신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오물풍선을 날리다가 언제 어디서 국지적 군사도발에 나설지 알 수 없는 지경인 것이 지금의 한반도 현실이다.
Most View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