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KBS가 빠뜨린 질문들… 대담이 기자회견을 대체할 순 없다

KBS가 빠뜨린 질문들… 대담이 기자회견을 대체할 순 없다

Posted February. 09, 2024 08:37,   

Updated February. 09, 2024 08:37

日本語

윤석열 대통령의 7일 KBS 신년 대담은 그 내용과 형식, 추진 과정에서 많은 아쉬움을 남겼다. 방송사 한 곳을 정해 사흘 전 녹화한 뒤 대통령실 곳곳을 다니는 장면을 끼워 넣는 편집을 거쳐 내놓은 대담은 홍보용 다큐멘터리를 연상시켰다. 그 질문도 날카로움은 없고 나긋하기만 해서 대담이라기보단 환담에 가까웠다는 평가도 나왔다. 무엇보다 이번 대담에선 정작 국민이 궁금해하고 그래서 대통령에게 묻고 싶은 질문들이 너무 많이 빠졌다.

질문은 대체로 윤 대통령이 말하고 싶거나 부득이 할 수밖에 없는 것들에 집중됐다. 그 핵심이었던 김건희 여사의 명품 백 수수 의혹에 대한 질문조차 ‘이른바 파우치, 외국 회사의 조그마한 백’이라고 그 의미를 축소하며 ‘의전과 경호의 문제’로 접근했다. 그러니 “매정하게, 박절하게 끊지 못했다”는 사실상 변명의 장이 됐다. 설령 그렇게 어쩔 수 없이 만났다 해도 그 가방을 왜 거부하지 않았는지, 이후 가방은 어떻게 처리했는지 후속 질문도 없었다.

윤 대통령이 원치 않거나 거북하게 여길 질문은 보이지 않았다. 윤 대통령 책임 아래 수사했던 ‘사법 농단’ 사건의 양승태 전 대법원장이 1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것도, ‘고발 사주’ 의혹의 손준성 검사장 1심 유죄에 대해서도 묻지 않았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한 사퇴 요구가 실제 있었는지에 대한 질문도 없었다. 현 정부 출범 이래 끊이지 않던 인사 난맥상은 물론이고 부산 엑스포 유치 실패 등 누구나 고개를 갸우뚱할 수밖에 없었던 사안들에 대해 국민은 어떤 답도 듣지 못했다.

연금·노동·교육 3대 개혁에 관한 질문이 없었던 점도 이해하기 어려웠다. 3대 개혁은 대통령 취임 후 첫 국회 연설에서 위기 극복을 위한 3대 선행 과제로 제시한 이래 “선택이 아닌 필수”라던 사안이다. 연금개혁은 정부가 알맹이 빠진 개혁안을 국회에 넘긴 이래 사실상 멈춰 있는데도, 교육개혁은 사교육비 경감이나 대학 무전공 선발 확대 등 산발적 정책들이 현장에서 큰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는데도 따지는 질문이 없었다.

대통령은 국정 최고책임자로서 막중한 권한에 상응하는 ‘설명의 의무’를 진다. 그런 피할 수 없는 대통령의 책무를 자기 편의대로 회피하거나 제한해선 안 된다. 언론 역시 국민의 알권리를 위해 국민을 대신해 묻고 따져야 한다. 미흡하고 부실했던 이번 KBS 대담이 기자회견을 대신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