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를 살아갈 학생들은 다른 문화와의 공존, 인권 옹호, 환경 보호, 식량 안보, 종교간 갈등, 물 부족, 에너지 문제 등 전지구적인 문제와 직면해야 한다.
유엔은 2001년을 문명간 대화의 해로 지정했다. 상호의존성이 더욱 심화되는 데다 세계화가 촉진되고 있는 지금, 국제이해교육은 필수 불가결한 것이 됐다.
국제이해교육은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 자신의 문화에 대한 정체성 확립,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대한 이해와 실천, 환경 등 전세계적인 문제에 대한 깨달음, 세계 체제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필요로 한다. 학생들은 이 교육을 통해 다문화 사회와 상호 의존하는 세계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과 태도, 기능을 계발할 수 있다.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교육인 것이다.
그러나 국내 초중고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관심은 아주 부족하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국제이해교육은 교육부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공동으로 98년부터 전국 130여개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시작한 외국인과 함께 하는 문화 교실(CCAP),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전국 69개 학교를 대상으로 펼치고 있는 유네스코 협동학교 사업(ASP), 유니세프한국위원회가 전개하고 있는 지구촌 클럽 정도에 불과하다.
제7차 교육과정은 학교의 필요와 학생의 요구, 지역의 특수성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교육과정에 재량활동 시간을 편성토록 해 국제이해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했다. 이는 교과활동과 특별활동에 새로 추가된 세 번째 영역이다. 초중고교는 재량활동 시간에 국제이해교육, 보건교육, 진로교육, 인성교육 등 15개 과목 중에서 재량으로 선택하여 가르칠 수 있다.
그러나 국제이해교육을 활성화하려면 몇 가지 할 일이 있다.
첫째, 교육에 대한 시각을 새롭게 조정해야 한다. 경쟁지향적 교육보다는 남들과 함께 사는 교육을 귀하게 여기는 풍토가 생겨나야 한다.
둘째, 학교현장에서 즉각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국제이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국제이해교육에 활용해야 한다.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적 물적 자원과 학생들을 연결해주는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교실 교육의 벽을 뛰어넘는 국제이해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넷째, 현장에서 교육을 담당할 교사를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교사들이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안목과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교사 양성 과정과 연수과정에 이 부문을 포함해야 한다.
다섯째, 국내 거주 외국인, 국제이해교육 분야별 전문가, 해외동포, 국제경험을 갖고 있는 지역사회 인사 등을 보조교사나 교사로 활용하는 파격적인 교육행정도 필요하다.
학생들은 이러한 국제이해교육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동시에 세계 속에서 변화의 주체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본적 지식과 태도, 기능을 갖게 될 것이다.
김종훈(유네스코 아태 국제이해교육원 연구발전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