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다나카 전외무성국장 인터뷰

Posted November. 07, 2005 07:24,   

日本語

북한은 국가로서 신뢰가 없으므로 모든 것을 검증해야 한다. 그러나 북한의 소프트랜딩 없이는 동북아 평화도 기대하기 어렵다.

한림대 일본학연구소(소장 공노명)가 서울 외교안보연구원에서 개최한 21세기 아시아 공동체를 향하여-한일 양국의 과제 심포지엄 참석차 한국에 온 다나카 히토시(사진) 전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현 일본국제교류센터 선임연구원)은 5일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6자회담 일본 측 대표를 지내다 8월 외무성을 나온 다나카 전 국장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대북 외교의 설계자. 2002년 9월 고이즈미 총리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정상회담을 만들어 내기도 했다.

북-일 정상회담 결과는 유효한가. 고이즈미 총리의 임기 중 교섭이 진전될 가능성은.

북-일 평양선언에 근거한 로드맵은 여전히 남아 있다. 다만 핵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진전될 수 없다. 그래서 6자회담이 중요하다. 6자회담 타결과 북-일 국교정상화는 동의어다.

납치 피해자 문제가 불거지면서 고이즈미 총리의 방북 성과가 엉망이 됐다는 지적도 일본 내에 있던데.

그렇다고 고이즈미 총리의 방북이 실패했다고 보지는 않는다. 큰 로드맵은 납치 문제 해결에서 출발해 국교정상화로 간다는 것이었고, 그것은 지금도 남아 있다. 일본도 북한도 양국간 협의를 포기한다고 한 적 없다. 더 긴 눈으로 봐야 한다.

한국 내에서는 일본 사회의 우경화 흐름에 우려가 적지 않다.

한국도 요즘 왼쪽으로 기운다고 하던데, 언제에 비해 왼쪽인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지) 60년 세월이면 대중 정서가 바뀐다. 그걸 범주화하는 것은 무리다. 고이즈미 총리의 고민은 아시아의 정서도 알지만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그만둔다고 해서 각국과의 관계 호전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최근 한 세미나에서 한국의 동북아 균형자론에 대단히 실망했다고 비판했던데.

일본이라면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균형자 역할을 하겠다는 발상 자체를 하지 않는다. 일본은 민주주의 국가이기 때문이다. 같은 가치를 가진 나라와 그렇지 않은 나라 사이에서 균형자 역할을 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서영아 sy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