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오피니언] 몸값 뛴 감사()

Posted September. 09, 2006 06:15,   

日本語

운전사 달린 고급 승용차, 넓은 사무실과 여비서, 억대 연봉에 마르지 않는 판공비. 회사 내 서열이 대체로 사장 다음의 넘버 투로 꼽히지만, 큰 책임 지지 않고 빠져나갈 수 있다. 더우면 에어컨 잘 나오고, 추우면 난방 잘 되는 창가에 앉아 꼬박꼬박 졸아도 간섭하는 사람도 없다. 공기업 감사() 자리다. 보통사람들은 이런 복 받은 자리에 침 흘릴 엄두도 못 낸다. 하지만 정권에 투기() 잘한 덕에 낙하산으로 공기업 감사나리로 변신한 준()건달이 적지 않다. 이른바 운동권 출신도 꽤 있다.

한나라당 정진섭 의원이 정부 산하 69개 공기업 상임감사의 급여를 조사했더니 41명이 억대 연봉을, 많게는 4억8540만 원(산업은행)까지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 이후 5년 사이 공기업 감사의 평균 연봉은 78% 올랐다. 공무원 봉급 인상률의 2.6배, 근로자 임금 평균인상률의 1.8배다. 노무현 정부가 산하기관에 떨어뜨린 낙하산 임원은 325명이고, 이 가운데 88명은 감사다. 기획예산처가 14개 공기업의 2005년 경영실적을 분석했더니 낙하산 인사가 많은 조직일수록 경영실적이 나쁜 것으로 평가됐다.

감사의 역할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이사와 경영진에 대한 적법성 감사(), 재무활동의 건전성과 타당성 감사, 외부감사인(회계법인)의 감사활동에 대한 평가 등 업무가 묵직하다. 그만큼 전문성과 도덕성이 있어야 하는 자리다. 그런데 경영의 기초자료인 대차대조표조차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낙하산으로 내려가 앉기도 한다.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달 일부 신문사 간부들에게 공기업 기관장들이 말을 잘 안 듣는다. 우리가 외부 감사를 임명하는 것도 (이런 기관장에 대한) 견제의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공기업 기관장들은 누구의 말을 잘 들어야 하는 것인가. 기업경쟁력을 극대화해서 국민의 부담을 줄여주면서, 나라경제에 기여하는 것이 이들의 임무다. 정권 코드의 낙하산 감사들은 기관장의 이런 역할을 도울까, 방해할까.

권 순 택 논설위원maypol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