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다. 많은 국민이 이날을 광복절()로만 기리지만 815는 광복절이자 대한민국 건국일이다. 1945년 8월 15일 일제로부터 광복된 우리는 미군정() 기간을 거쳐 1948년 5월 10일 유엔의 결의에 따라 남한 단독 총선거를 실시했고, 7월 17일 제헌헌법을 만들어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했다.
그런데도 우리는 건국을 잊고 살다시피 했다. 경위야 어떻든 통일정부를 이루지 못했다는 생각이 한 원인이었을 것이다. 2002년 10월 서울대인 의식조사에서 건국의 주역인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긍정 평가가 3.1%에 불과했다는 사실이 보여 주듯이 건국을 폄훼하는 역사인식이 아직도 사회 일각에 남아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건국 이후의 역사를 정의가 패배하고 기회주의가 득세한 세월로 규정한 것이 대표적이다. 빛나는 성취의 역사를 이런 식으로 부정하는 것은 어설픈 좌파() 논리를 되뇌는 것이며 선열들까지 욕보이는 짓이다.
59년 전 우리는 가까스로 건국에 성공했지만 앞에 가로놓인 것은 공산주의의 위협과 절대빈곤이었다. 풍요는 고사하고 생존 자체가 위태로웠다. 이런 상황에서 건국의 지도자들은 근대 국민국가의 기틀을 세워 나갔다.
이들은 1775년 독립전쟁 당시의 미국 군대와 비슷하다는 미군 고문관의 말처럼 원시적인 한국군을 이끌고 미국과 유엔을 설득해 625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한미 상호방위조약 체결을 관철해 오늘의 번영을 위한 국가 안전판을 구축했다. 근대화와 산업화의 초석이 된 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계획도 1960년 이승만 정부의 부흥부가 마련한 제1차 3개년 계획에 뿌리를 둔 것이었다.
역사란 이처럼 면면히 이어지는 것이다. 건국 후 독재 반()인권 부패 등 부정적인 모습도 적지 않았지만 세계 어느 나라도 우리처럼 한 세대 만에 근대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뤄 내지는 못했다. 자기비하()와 패배주의에 빠져 있을 이유가 없다. 천년의 가난을 몰아낸 대한민국이 주민을 굶겨 죽이는 세습왕조와 같을 수도 없다.
제17대 대통령이 취임하는 내년은 건국 60주년이 되는 해다. 국민이 건국의 역사를 공유할 때 사회통합도 되고, 국가 에너지도 모을 수 있다. 최근 여론조사를 보면 건국 이후의 역사에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대답하는 국민이 늘고 있다. 이런 국민이 대한민국을 지킬 지도자를 뽑아 선진한국을 앞당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