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이 올해 4, 5월 임산부들 사이에서 집단 발생해 5명의 목숨을 앗아간 원인 미상 폐 손상 질환이 가습기 살균제 때문일 수 있다는 잠정 조사결과를 31일 발표했다. 보건당국은 소비자들에게 가습기 살균제 사용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고 업체에는 판매를 중단하고 제품을 전량 회수토록 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원인 미상 폐 손상 환자가 몰렸던 서울아산병원의 20042011년 환자 18명과 일반 호흡기 환자를 조사했더니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했을 때 폐 손상 위험이 47.3배 높아졌다고 밝혔다. 폐세포에 직접 살균제 성분을 묻혀 보는 예비독성실험에서도 폐 손상이 확인됐다.
권준욱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센터장은 가습기 살균제의 어떤 성분이 병을 유발했는지는 농도를 확인하는 위해성 평가와 동물실험을 추가로 진행해봐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가습기 살균제에 쓰이는 살균 성분은 3가지 정도로 알려져 있다. 살균제 종류에 따라 성분의 농도는 15%로 다르다.
지금까지 가습기 살균제는 법적인 규제를 받지 않았다. 보건당국은 앞으로는 약사법에 명시된 의약외품으로 지정 고시해 제품 기준을 마련하고 관리감독을 하기로 했다.
한편 국내 가습기 살균제 업체들은 정부의 발표에 당혹스러워하면서도 정부 방침에 따라 시중 제품을 모두 회수하고 제품 출시도 무기한 연기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내 가습기 세정제 시장은 연간 20여억 원 규모로 추정되며 옥시가 90% 이상을, 애경과 중소업체들이 나머지를 차지하고 있다. 업체들은 협의체를 구성하고 가습기 세정제는 제품마다 성분이 각각 다른데 정부가 이를 전혀 밝히지 않은 채 역학조사 결과만을 바탕으로 문제가 있다고 발표해 당황스럽다며 정확한 원인을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일부 폐 손상 환자 가족들도 보건당국의 역학조사에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사람이 많은데, 그에 비해 환자 수가 적다는 것. 원인 미상 폐질환에 대한 궁금증을 Q&A로 알아본다.
Q. 왜 임산부 환자가 많았나.
A. 올해 서울아산병원에 원인 미상 폐질환으로 입원한 17명 가운데 10명이 임산부였다. 사망자 5명도 모두 임산부였다. 신생아는 적정한 습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가습기를 많이 사용한다. 산모는 아기와 함께 가습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실내에서 지내는 시간 또한 길다. 또 임신부의 경우 배가 부르면 숨이 가빠지면서 평소보다 호흡량이 30% 늘어난다. 독성 물질에 똑같이 노출돼도 흡입량은 더 많다.
Q. 바이러스가 아닌데 왜 환절기에 발병하나.
A. 겨울 내내 가습기를 사용한 뒤 봄에 발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폐 손상 환자들은 평균 3, 4년 동안 매년 4개월 정도 가습기를 사용했다. 물을 보충할 때마다 살균제를 섞어 썼다면 매달 1병의 살균제를 쓴 셈이다.
Q. 샴푸, 화장품, 물티슈에도 살균제 성분이 사용된다는데.
A. 화장품, 샴푸 등은 단순히 피부를 닦아내는 정도다. 공기 중에서 흡입되지 않는다. 폐로 독성물질이 흡수될 때는 정맥주사의 원리와 비슷하다. 공기 중에 떠돌다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비율과 폐로 흡수되는 비율은 큰 차이가 있다. 화장품에 쓰는 살균제는 관련 법령에 따라 안정성을 확인한 것들이니 안심해도 된다.
Q. 국내 제품만 문제가 되나.
A. 해외에서는 이런 폐 손상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다. 국내처럼 가습기 살균제 사용이 일반화한 나라는 별로 없다. 이번 조사에 다국적 회사 제품도 포함됐지만 살균제를 쓰지 않았다. 살균제의 어떤 성분인지 명확히 밝혀질 때까지 모든 가습기 살균제 사용을 중단하는 것이 좋다.
Q. 가습기는 어떻게 세척해야 하나.
A. 가습기 살균제를 이용하는 이유는 안에 넣은 물이 오염되면 증기로 나오는 공기가 오염될 거라는 걱정 때문이다. 번거롭더라도 일주일에 한 번씩은 청소해주는 게 좋다. 가습기 세척 때는 먼저 손부터 씻고, 이어 부드러운 솔을 이용해 중성세제로 구석구석 씻어준다. 세제가 남지 않도록 3회 이상 헹군다. 물은 매일 갈아줘야 한다. 물통에 5분의 1 정도 물을 넣고 충분히 흔들어 안을 씻는다. 2회 이상이 좋다.
Q.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폐질환 치료법은 없나.
A. 현재로서는 가습기 살균제 사용을 피하는 것이 최선이다. 폐 손상 환자들은 외부 독소 물질에 의한 염증 반응이 일어나 폐의 꽈리가 딱딱해지는 폐 섬유화 증상을 보였다. 고농도 스테로이드를 주입하는 치료법이 있지만 손상된 폐는 회복되지 않는다. 폐 이식을 받는 수밖에 없다.
우경임 woohah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