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를 위한 동지이자 평생의 라이벌이었던 김영삼(YS) 김대중(DJ) 전 대통령. 1980년대 당시 신군부가 언론을 검열하면서 언론들은 DJ와 YS를 각각 그들의 거주지였던 동교동 인사와 상도동 인사라고 에둘러 표현했다. 이에 따라 이들의 집을 드나들던 가신() 그룹도 각각 동교동계와 상도동계로 불렸다.
1980년대 당시에는 막내였지만 지금은 새누리당 대표가 된 김무성이 대표적 상도동계 인사다. YS 빈소를 5일 내내 지키며 자신을 YS의 정치적 아들이라고 했다. 김 대표는 YS가 창당한 통일민주당 창당발기인을 거쳐 YS 재임 기간 대통령사정비서관과 내무부 차관을 지냈다.
지금은 친박(친박근혜)계의 맏형으로 김 대표와 각을 세우고 있는 같은 당 서청원 최고위원도 둘째가라면 서러울 YS맨을 자부한다. 서 최고위원은 YS가 야당 총재 시절 비서실장을 지냈고 문민정부에서 정무장관을 지냈다. 김 대표나 서 최고위원은 모두 YS가 1984년 이끌던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에 참여하면서 상도동계와 인연을 맺었다.
하지만 김 대표와 서 최고위원은 지난해 7월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일전을 벌인 뒤 각각 비박과 친박 진영을 이끌며 사사건건 갈등을 벌이고 있는 얄궂은 운명에 처해 있다. YS 상가를 5일 내내 지킨 두 사람은 빈소에서도 냉랭한 분위기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YS 재임 내내 손명순 여사 부속실장을 지낸 정병국 의원과 김영삼 정부 대통령비서관 출신인 이병석 이진복 의원, 이성헌 전 의원 등도 범상도동계로 분류된다.
원로그룹으로는 최형우 전 내무부 장관과 김수한 박관용 전 국회의장, 김덕룡 전 한나라당 원내대표, 박종웅 전 의원, 이원종 전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 홍인길 전 대통령총무수석비서관 등을 꼽을 수 있다. 김기수 비서실장은 YS 임기 내내 수행실장을 맡았고 퇴임 이후에도 줄곧 YS의 곁을 지켰다.
동교동계는 김대중 정부와 함께 부침을 겪었다. 현재는 새정치민주연합 내에서도 동교동계 출신 현역 의원은 손에 꼽을 정도. 권노갑 상임고문과 함께 양갑()으로 불리면서 리틀 DJ라는 별명도 얻었던 한화갑 전 의원이 2012년 대선 당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지지하면서 동교동계의 당내 입지가 더욱 좁아졌다. 김옥두 배기선 전 의원 등도 일선에 없다.
열린우리당 의장과 당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았던 문희상 의원, 이석현 국회부의장, 설훈 의원 등도 동교동계에서 한솥밥을 먹었지만 지금은 각자의 길을 걷고 있다. 노무현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장을 지낸 문 의원은 친노(친노무현)계, 설 의원은 범친노(친노무현)계로 분류되지만 이 부의장은 비노(비노무현)계에 포함된다.
다만 DJ의 부인인 이희호 여사와 동교동계 좌장 역할을 하는 권노갑 상임고문은 호남지역에서 여전히 적지 않은 지분을 갖고 있다. 동교동 직계는 아니지만 DJ의 영원한 비서실장으로 불리는 박지원 의원 역시 호남을 기반으로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다. 차기 국회의원 총선거와 2017년 대선 과정에서 동교동계가 고토()를 회복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가동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김대중 정부에서 공보수석을 지낸 박준영 전 전남지사, 평민당 전문위원으로 정계에 입문한 전병헌 최고위원 등도 DJ맨으로 분류된다. DJ가 1996년 15대 국회에서 젊은 피로 수혈했던 김한길 신기남 정세균 천정배 추미애 의원과 정동영 김민석 전 의원도 어느덧 당내 중진이 됐다.
황형준 기자 constant2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