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은행 고시’

Posted May. 15, 2018 08:47,   

Updated May. 15, 2018 08:47

日本語

 “지하철에서 골프채를 팔려면?” “서해대교를 한강으로 옮기려면?” 2000년대 초반 은행 취업 면접에 뚱딴지같은 질문이 등장했다. 이제는 ‘고전’이 된 면접 문항들이지만 당시 금융권 취업준비생들은 적잖이 당황했다. 업종 특성상 보수적인 문화를 가진 은행권의 면접으로는 튀는 질문이었기 때문이다. 은행권은 1990년대 중반부터 채용에서 모범생보다는 이자수익 이상을 창출할 ‘영업맨’을 골라내려고 씨름했다. ‘은행 고시’로 불린 필기시험도 차례로 폐지했다. 영업은 성적순이 아니라는 판단이었다.

 ▷최근 10여 년 동안 ‘열린 공채’도 화두였다. 정권마다 이름은 달랐지만 스펙을 보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을 강조한 데다 은행의 생존전략이기도 했다. 학력 전공 영어점수 같은 획일적인 기준으로는 금융환경의 변화에 따른 맞춤형 인재를 뽑기 어려웠다. 자연히 은행 공채에서 법대와 상경대 출신의 공고한 벽도 무너졌다. 지난해 공채에서 신한은행은 200명 중 30%를, 우리은행은 150명 중 20%를 이공계 출신으로 채웠다.

 ▷우리은행이 올 상반기 공채부터 필기시험을 부활시켰다. 면접으로만 행원을 뽑겠다며 필기시험을 폐지한 지 11년 만이다. 지난달 28일 치러진 필기시험에서는 ‘경제 트릴레마(trilemma·3중 딜레마)’, ‘외환보유 종류’ 등 전문지식을 묻는 문제들이 다수 출제됐다. 앞으로 은행권 채용에서는 이 같은 필기시험이 전면 부활할 예정이다. 지난해부터 불거진 채용 비리로 몸살을 앓은 은행권의 고육책이다.

 ▷공정사회의 표상처럼 여겼던 ‘블라인드 채용’이 되레 채용 비리의 핵으로 지목된 현실은 아이러니하다. 그렇다고 청탁 시비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객관식 필기시험을 부활해야 하는 은행권도 마뜩찮을 것이다. 시험을 잘 보는 인재가 꼭 업무수행능력이 뛰어난 것은 아니라는 점을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채용 비리의 후폭풍으로 가뜩이나 ‘바늘구멍’을 뚫어야 하는 취준생들의 부담만 늘어나는 것 같아 씁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