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베토벤 소나타를 자주 들었다면

Posted May. 30, 2018 08:21,   

Updated May. 30, 2018 08:21

日本語

 음악이 사람을 바꿔 놓을 때가 있다. “모든 예술은 끊임없이 음악의 상태를 동경한다”라는 말까지 있으니, 음악에 그러한 힘이 있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지 모른다. 독일 감독 플로리안 헨켈 폰 도너스마르크의 ‘타인의 삶’은 음악이 어떻게 사람을 바꿔 놓을 수 있는지 보여주는 감동적인 영화다.

 통일되기 이전의 동독이 배경이다. 주인공 비즐러 대위는 슈타지, 즉 국가안보국 소속의 심문 및 도청 전문가다. 블랙리스트에 있는 사람들을 도청하고 필요하면 심문하고 고문도 서슴지 않는, 피도 눈물도 없는 ‘인간 기계’다.

 그가 이번에 감시하는 인물은 드라이만이라는 유명 극작가이다. 그는 숨소리도 들릴 정도로 완벽하게, 작가의 집 곳곳에 도청장치를 설치하고 모든 것을 감시한다. 그러던 어느 날, 드라이만은 정권의 눈 밖에 나서 오랫동안 연출을 금지당했던 유명 연출가가 자살했다는 전화를 받고 비통해한다. 그리고 그 연출가를 생각하며 그에게서 선물로 받았던 소나타 악보를 피아노로 연주하기 시작한다. 영화가 재현할 수 없는, 상상 속의 음악이 흐른다. 도청장치의 헤드폰을 통해 그 음악을 듣는 비즐러의 얼굴에 전에 볼 수 없던 표정이 떠오른다. 그가 ‘인간 기계’에서 ‘인간’으로 바뀌는 순간이다.

 드라이만이 동독의 억압적인 현실에 관한 글을 서독 신문에 싣고도 무사한 것은 그 변화 덕이다. 비즐러는 그를 보호하기 위해 거짓 보고서를 작성하고 범죄의 결정적 증거인 타자기까지 없앤다. “인간적인 것을 이념적인 것 위에, 감정을 원칙 위에, 사랑을 엄격함 위에 놓는” 음악의 힘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여기에서 질문 하나. 레닌이 그토록 좋아하던 베토벤의 ‘열정’ 소나타를 더 자주 들었더라면, 비즐러 대위처럼 인간적으로 변했을까? 달리 말해, 레닌이 “혁명과업을 위해서 ‘열정’ 소나타를 들어야 한다고 믿을 수 있었다면” 역사는 어떻게 되었을까? 이 영화가 제기하는 다소 순진하면서도 고전적인 질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