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 1위 中-4위 러 불참… 기후총회 시작부터 ‘먹구름'
Posted November. 01, 2021 08:53,
Updated November. 01, 2021 08:53
탄소배출 1위 中-4위 러 불참… 기후총회 시작부터 ‘먹구름'.
November. 01, 2021 08:53.
by 김윤종 zozo@donga.com.
세계 각국이 지구온난화 방지 대책을 논의하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가 31일 영국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개막했다. 그러나 세계 탄소배출 1, 4위 국가인 중국과 러시아가 빠지고 3위 인도가 비협조적으로 나오면서 총회가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달 12일까지 열리는 총회 일정의 핵심은 1, 2일 양일간 열리는 각국 정상회의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비롯해 각국 정상은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1.5도로 낮추는 구체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그러나 세계 배출량의 30%를 차지하는 탄소배출 1위국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 4위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총회에 오지 않았다. 시 주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을 이유로 지난해 1월 미얀마 방문을 마지막으로 해외를 찾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현재 중국이 사상 최악의 전력난에 빠져 석탄 수입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가 국제 행사에서 탈탄소 정책을 발표하는 데 부담을 느꼈다는 분석이 나온다. 러시아 역시 적극적인 감축 의지가 없어 보인다. 러시아는 당초 탄소중립 달성 시기를 2060년으로 잡았지만 최근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푸틴 대통령에게 전화해 “2050년까지 앞당겨 달라”고 촉구하자 부담을 느낀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는 아예 탄소 저감 목표치를 제시하지도 않은 채 ‘부자국가 책임론’만 외치고 있다고 BBC는 전했다. 부펜데르 야다브 인도 환경장관은 “기후변화를 초래한 탄소 배출은 대부분 경제 발전을 이룬 서방 선진국이 배출했다. 탄소중립이 기후위기의 근본적 대책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세계 최대 산유국 사우디아라비아, 세계 최대 석탄 수출국인 호주 역시 자국 이익을 위해 석유 석탄 발전소 폐쇄 등 화석연료 감축에 반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기후 변화로 피해를 보는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기 위한 연 1000억 달러 규모의 기후기금 모금 또한 사실상 물 건너 간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COP는 기후 변화에 관한 국제사회의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1995년부터 매년 개최됐다. 특히 2015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총회에서는 전 세계가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1.5도로 제한하는 목표에 합의했다. 각국은 이후 5년마다 자국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발표하기로 했으나 지난해 코로나19로 목표 제시를 하지 못했고 올해 목표치 제시가 이뤄진다. 알로크 샤르마 COP26 의장은 “여러 쟁점으로 각국이 파리협정 때보다 뜻을 모으기 힘든 상황”이라고 밝혔다.
日本語
세계 각국이 지구온난화 방지 대책을 논의하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가 31일 영국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개막했다. 그러나 세계 탄소배출 1, 4위 국가인 중국과 러시아가 빠지고 3위 인도가 비협조적으로 나오면서 총회가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달 12일까지 열리는 총회 일정의 핵심은 1, 2일 양일간 열리는 각국 정상회의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비롯해 각국 정상은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1.5도로 낮추는 구체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그러나 세계 배출량의 30%를 차지하는 탄소배출 1위국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 4위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총회에 오지 않았다.
시 주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을 이유로 지난해 1월 미얀마 방문을 마지막으로 해외를 찾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현재 중국이 사상 최악의 전력난에 빠져 석탄 수입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가 국제 행사에서 탈탄소 정책을 발표하는 데 부담을 느꼈다는 분석이 나온다. 러시아 역시 적극적인 감축 의지가 없어 보인다. 러시아는 당초 탄소중립 달성 시기를 2060년으로 잡았지만 최근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푸틴 대통령에게 전화해 “2050년까지 앞당겨 달라”고 촉구하자 부담을 느낀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는 아예 탄소 저감 목표치를 제시하지도 않은 채 ‘부자국가 책임론’만 외치고 있다고 BBC는 전했다. 부펜데르 야다브 인도 환경장관은 “기후변화를 초래한 탄소 배출은 대부분 경제 발전을 이룬 서방 선진국이 배출했다. 탄소중립이 기후위기의 근본적 대책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세계 최대 산유국 사우디아라비아, 세계 최대 석탄 수출국인 호주 역시 자국 이익을 위해 석유 석탄 발전소 폐쇄 등 화석연료 감축에 반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기후 변화로 피해를 보는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기 위한 연 1000억 달러 규모의 기후기금 모금 또한 사실상 물 건너 간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COP는 기후 변화에 관한 국제사회의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1995년부터 매년 개최됐다. 특히 2015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총회에서는 전 세계가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1.5도로 제한하는 목표에 합의했다. 각국은 이후 5년마다 자국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발표하기로 했으나 지난해 코로나19로 목표 제시를 하지 못했고 올해 목표치 제시가 이뤄진다. 알로크 샤르마 COP26 의장은 “여러 쟁점으로 각국이 파리협정 때보다 뜻을 모으기 힘든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윤종 zozo@donga.com
アクセスランキン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