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조차 필수의료 구인난… 외과 전문의 11번만에 충원
Posted June. 15, 2023 08:12,
Updated June. 15, 2023 08:12
서울대병원조차 필수의료 구인난… 외과 전문의 11번만에 충원.
June. 15, 2023 08:12.
by 김소영기자 ksy@donga.com.
지난해 서울대병원이 외과와 응급의학과 등 비인기 진료과목 의사 구인난에 시달린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빅5 병원’ 중 한 곳인 서울대병원조차 이른바 ‘내외산소’(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로 불리는 필수의료 분야에 대한 만성적인 기피 현상을 겪고 있는 것이다. 반면 성형외과와 피부과 등 상대적으로 인기가 높은 진료과목은 단 한두 차례만으로도 의사 모집에 성공해 진료 과목별로 ‘양극화’가 뚜렷했다. 14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민정 의원이 서울대병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대병원은 외과 전문의를 모집하기 위해 총 11차례의 공고를 냈다. 전문의란 의사 면허를 취득한 뒤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 수련 기간을 거쳐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의사를 칭한다. 외과의 전문의 모집 횟수는 전체 24개 진료과목 중 가장 많았다. 11차례나 공고를 낸 끝에 당초 모집 인원이었던 46명보다 2명 더 많은 48명이 지원했고, 이 중 47명을 합격시켰다. 외과에 이어 전문의 모집 횟수가 많았던 진료과목은 내과였다. 내과는 9차례에 걸쳐 전문의를 모집했다. 그 결과, 모집 인원 82명보다 7명이 적은 75명이 지원했고 이 가운데 72명을 합격시켰다. 응급의학과 역시 8차례나 모집 공고를 냈다. 당초 모집 인원은 24명이었지만 지원자는 11명에 불과했고 결국 10명을 합격시켰다. 결과적으로 모집 인원의 절반도 채우지 못한 셈이다. 다른 비인기 진료과목의 사정도 다르지 않았다. 심장혈관흉부외과와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역시 각각 5차례 모집 공고를 냈다. 반면 상대적으로 인기가 좋은 성형외과는 한 차례 만에 당초 모집하려던 정원 4명을 충족했다. 피부과 역시 두 차례만으로 모집 정원 3명이 채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나백주 서울시립대 도시보건대학원 교수는 “인기 진료과목으로의 쏠림 현상이 심화될수록 필수의료 분야 의사가 부족해지고 결국 국민 건강과 생명에 위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日本語
지난해 서울대병원이 외과와 응급의학과 등 비인기 진료과목 의사 구인난에 시달린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빅5 병원’ 중 한 곳인 서울대병원조차 이른바 ‘내외산소’(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로 불리는 필수의료 분야에 대한 만성적인 기피 현상을 겪고 있는 것이다. 반면 성형외과와 피부과 등 상대적으로 인기가 높은 진료과목은 단 한두 차례만으로도 의사 모집에 성공해 진료 과목별로 ‘양극화’가 뚜렷했다.
14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민정 의원이 서울대병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대병원은 외과 전문의를 모집하기 위해 총 11차례의 공고를 냈다. 전문의란 의사 면허를 취득한 뒤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 수련 기간을 거쳐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의사를 칭한다. 외과의 전문의 모집 횟수는 전체 24개 진료과목 중 가장 많았다. 11차례나 공고를 낸 끝에 당초 모집 인원이었던 46명보다 2명 더 많은 48명이 지원했고, 이 중 47명을 합격시켰다.
외과에 이어 전문의 모집 횟수가 많았던 진료과목은 내과였다. 내과는 9차례에 걸쳐 전문의를 모집했다. 그 결과, 모집 인원 82명보다 7명이 적은 75명이 지원했고 이 가운데 72명을 합격시켰다. 응급의학과 역시 8차례나 모집 공고를 냈다. 당초 모집 인원은 24명이었지만 지원자는 11명에 불과했고 결국 10명을 합격시켰다. 결과적으로 모집 인원의 절반도 채우지 못한 셈이다.
다른 비인기 진료과목의 사정도 다르지 않았다. 심장혈관흉부외과와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역시 각각 5차례 모집 공고를 냈다.
반면 상대적으로 인기가 좋은 성형외과는 한 차례 만에 당초 모집하려던 정원 4명을 충족했다. 피부과 역시 두 차례만으로 모집 정원 3명이 채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나백주 서울시립대 도시보건대학원 교수는 “인기 진료과목으로의 쏠림 현상이 심화될수록 필수의료 분야 의사가 부족해지고 결국 국민 건강과 생명에 위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소영기자 ksy@donga.com
アクセスランキン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