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이 배우고 성장하는 기회… 퇴사 때도 면담이 필요하다
Posted June. 30, 2023 08:11,
Updated June. 30, 2023 08:11
조직이 배우고 성장하는 기회… 퇴사 때도 면담이 필요하다.
June. 30, 2023 08:11.
.
이런저런 이유로 퇴사를 결심했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일과 육아를 병행하기 어려워서, 몸이 좋지 않아서, 다른 길을 찾아보기 위해서 등 저마다 서사가 다양하다. 그중 퇴사 과정이 깔끔하고 만족스러웠으며 퇴사하면서 회사가 더 좋아졌다는 복기는 별로 듣지 못했다. 이직과 전직이 흔해지고 평생 직장이 사라졌다는 데 대해서는 다들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퇴사에 대해서만큼은 여전히 유연하지 않은 반응이 많다. 퇴사하겠다고 했더니 배신자로 낙인을 찍더라, 나가서 잘 되나 보자며 악담을 하더라는 일화가 드물지 않다. 얼마를 같이 일했든 한 번 헤어지면 다시는 안 볼 것처럼 대하는 것은 근시안적인 태도다. 한국 사회가 좁아서가 아니다. 퇴사 직원의 경험을 공유하면서 조직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기 때문에 그렇다. 오늘날과 같은 지식경제 시대에는 유능한 직원이야말로 조직의 성공을 이끄는 핵심 자산이다. 기업은 직원을 잘 뽑고 육성해서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특히 퇴사하는 직원과 심도 있는 면담을 갖고 그 결과를 토대로 조직 전반의 경쟁력을 갈고닦는 데 적극 나서야 한다. 퇴사 면담이 줄 수 있는 이점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조직 운영이나 문화 면에서 어떤 점을 조정하고 보완해야 할지, 어떤 점을 강화해야 할지 들을 수 있다. 혹시 상사나 동료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이 있었다면 이런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 수 있을지 고민하는 기회로 삼는다. 관리자들의 리더십 스타일에 대한 통찰도 얻을 수 있다. 퇴사자들을 정중하게 대하고 감사의 마음을 표하면 이들은 회사의 훌륭한 서포터스가 될 수 있다. 이런 과정은 남아있는 직원들에게도 좋은 인상을 준다. 직접 보고 면담하는 것이 쉽지 않다면 넷플릭스에서 운영하는 ‘부검 메일(postmortem email)’ 제도를 참고할 만하다. 넷플릭스는 회사를 떠나는 직원이 함께 일한 동료들에게 메일을 쓰도록 한다. 왜 떠나는지, 회사에서 무엇을 배웠으며 아쉬운 점은 무엇인지, 앞으로의 계획은 어떤지 등을 담는다. 공개하기 어려운 내용까지 낱낱이 쓸 필요는 없지만 솔직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제도적, 문화적으로 최대한 배려한다. 사실 조직을 떠난다고 해서 완전히 솔직해지기란 쉽지 않다. 상사가 괴롭혀서 그만둔다고 과감하게 고백할 수 있는 사람도 많지는 않을 것이다. 조직은 좀 더 속 깊은 이야기가 나올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를 활용해야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직속 상사보다는 한 단계 위의 상사와 이야기를 나눌 때 더 솔직한 마음이 나온다. 한 다리 건넌 사람이란 이유만으로도 경계심이 한층 누그러지는 셈이다. 퇴사 직전이나 직후보다는 한 달여 시간이 흐른 후 훨씬 솔직한 답이 나온다는 연구도 있다. 대면 면담 쪽이 우세하지만 일부 학자는 전화로 하는 편이 낫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퇴사 면담을 통해 얻은 데이터가 무의미하게 날아가 버리지 않도록 잘 모으고 분석해 조직 운영에 실제로 반영될 수 있도록 체계를 잡아가는 것이다. 우리 조직에 맞는 퇴사 면담 형태를 고민해 보면 어떨까.
日本語
이런저런 이유로 퇴사를 결심했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일과 육아를 병행하기 어려워서, 몸이 좋지 않아서, 다른 길을 찾아보기 위해서 등 저마다 서사가 다양하다. 그중 퇴사 과정이 깔끔하고 만족스러웠으며 퇴사하면서 회사가 더 좋아졌다는 복기는 별로 듣지 못했다.
이직과 전직이 흔해지고 평생 직장이 사라졌다는 데 대해서는 다들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퇴사에 대해서만큼은 여전히 유연하지 않은 반응이 많다. 퇴사하겠다고 했더니 배신자로 낙인을 찍더라, 나가서 잘 되나 보자며 악담을 하더라는 일화가 드물지 않다. 얼마를 같이 일했든 한 번 헤어지면 다시는 안 볼 것처럼 대하는 것은 근시안적인 태도다. 한국 사회가 좁아서가 아니다. 퇴사 직원의 경험을 공유하면서 조직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기 때문에 그렇다.
오늘날과 같은 지식경제 시대에는 유능한 직원이야말로 조직의 성공을 이끄는 핵심 자산이다. 기업은 직원을 잘 뽑고 육성해서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특히 퇴사하는 직원과 심도 있는 면담을 갖고 그 결과를 토대로 조직 전반의 경쟁력을 갈고닦는 데 적극 나서야 한다.
퇴사 면담이 줄 수 있는 이점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조직 운영이나 문화 면에서 어떤 점을 조정하고 보완해야 할지, 어떤 점을 강화해야 할지 들을 수 있다. 혹시 상사나 동료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이 있었다면 이런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 수 있을지 고민하는 기회로 삼는다. 관리자들의 리더십 스타일에 대한 통찰도 얻을 수 있다. 퇴사자들을 정중하게 대하고 감사의 마음을 표하면 이들은 회사의 훌륭한 서포터스가 될 수 있다. 이런 과정은 남아있는 직원들에게도 좋은 인상을 준다.
직접 보고 면담하는 것이 쉽지 않다면 넷플릭스에서 운영하는 ‘부검 메일(postmortem email)’ 제도를 참고할 만하다. 넷플릭스는 회사를 떠나는 직원이 함께 일한 동료들에게 메일을 쓰도록 한다. 왜 떠나는지, 회사에서 무엇을 배웠으며 아쉬운 점은 무엇인지, 앞으로의 계획은 어떤지 등을 담는다. 공개하기 어려운 내용까지 낱낱이 쓸 필요는 없지만 솔직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제도적, 문화적으로 최대한 배려한다.
사실 조직을 떠난다고 해서 완전히 솔직해지기란 쉽지 않다. 상사가 괴롭혀서 그만둔다고 과감하게 고백할 수 있는 사람도 많지는 않을 것이다. 조직은 좀 더 속 깊은 이야기가 나올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를 활용해야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직속 상사보다는 한 단계 위의 상사와 이야기를 나눌 때 더 솔직한 마음이 나온다. 한 다리 건넌 사람이란 이유만으로도 경계심이 한층 누그러지는 셈이다. 퇴사 직전이나 직후보다는 한 달여 시간이 흐른 후 훨씬 솔직한 답이 나온다는 연구도 있다. 대면 면담 쪽이 우세하지만 일부 학자는 전화로 하는 편이 낫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퇴사 면담을 통해 얻은 데이터가 무의미하게 날아가 버리지 않도록 잘 모으고 분석해 조직 운영에 실제로 반영될 수 있도록 체계를 잡아가는 것이다. 우리 조직에 맞는 퇴사 면담 형태를 고민해 보면 어떨까.
アクセスランキン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