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노동력 부족 난제… 고학력 ‘워킹 시니어’ 활용으로 풀자

노동력 부족 난제… 고학력 ‘워킹 시니어’ 활용으로 풀자

Posted October. 14, 2023 12:04,   

Updated October. 14, 2023 12:04

日本語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내년에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반면 청년 인구는 감소하면서 노동력 부족이 우리 경제의 성장을 위협할 전망이다. 교육을 많이 받고, 건강 상태도 좋은 ‘워킹 시니어’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가 시급한 이유다.

지난해 65세 이상 취업자 가운데 전문대 졸업 이상인 고학력자는 122만2000명으로 2018년의 5.4배로 급증했다. 4년 간 연 평균 증가율이 50%가 넘는다. 저학력 노인 취업자 수는 198만5000명으로 아직 고학력자보다 많지만 숫자는 4년 간 10만 명 감소했다. 대학 진학률이 높아진 1980년대에 20대 청년기를 겪은 1960년대 출생자들이 노인층에 본격적으로 합류하면 고학력 노인층 증가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이다.

문제는 급증한 고학력 시니어 중 다수가 질 낮은 일자리에 묶여 있다는 점이다. 작년 기준으로 고학력 취업자 중 23.6%는 단순 노무직, 11.7%는 생산직이었다. 주당 36시간 이상 일한 이들의 비중은 절반을 간신히 넘는 수준이다. 높은 학력과 평생 키워온 전문성을 활용하지 못하는 ‘생계형 일자리’에 머무르고 있다는 의미다. 정부가 내년에 만든다는 103만 개 ‘세금 일자리’도 대부분 복지 성격의 단순 업무여서 이들의 눈높이를 충족하기에 역부족이다.

고령화의 충격을 앞서 경험한 일본은 노인층 고용연장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65세까지 기업들이 고령층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하도록 의무화한 것이다. 임금이 줄어도 경력을 살리며 일할 기회를 얻은 노인들은 환영하고, 인력난을 겪는 기업들도 우호적이다. 반면 한국에선 경직적 임금제도가 요지부동인 상태에서 계속고용 논의가 본격화할 경우 강성 노조의 ‘60세 법정정년 연장’ 요구로 번질까봐 정부와 정치권 모두 주저하고 있다.

한국의 고도 성장기에 일터를 지켜온 50, 60대 고학력 워킹 시니어의 경험과 지식은 한국 사회의 소중한 자산이다. 여전히 일할 의욕에 충만한 이들의 능력을 더 오래 활용할 수만 있다면 저출산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 연금고갈 등 많은 난제를 푸는 돌파구가 될 수 있다. 더 늦기 전에 역량 있는 고령층에게 더 일할 기회를 터주기 위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