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주가하락으로 주식 채권 등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가 줄고 금융자산 증가세도 크게 둔화됐다. 특히 미국에 비해선 주식과 채권투자 비중이 크게 낮았으나 일본보다는 주식투자 비율이 높았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민간부문 금융자산운용의 특징과 시사점’에 따르면 개인과 기업부문의 금융자산은 95-2000년 연평균 11.4% 증가해 지난해말 현재 1천250조3000억원에 달했다.
한·미·일 민간부문 금융자산 증감율 (단위:%) 95년 96년 97년 98년 99년 2000년 한 국 16.2 15.8 17.2 4.3 7.5 7.6 미 국 13.3 11.6 12.7 10.3 15.1 -2.8 일 본 6.9 0.2 0.1 1.1 6.1 -2.1 (자료:한국은행, 전년 대비 증감율)
개인부문의 금융자산은 지난해말 현재 799조5천억원으로 98-2000년 연평균 8.9%증가한 반면 기업은 450조8000억원으로 2.5% 증가에 그쳤다.
특히 금융자산중 저축성예금비중(증감액 기준)이 지난해 7월 대우사태 이후 79.8%로 수직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상대적으로 불안한 비은행금융기관보다 예금은행에 대한 선호도가 더욱 뚜렷해졌다. 지난해 예금은행의 예치금과 대출금은 99년에 비해 각각 92조7000억원, 52조1000억원이 늘었으나 비은행금융기관의 경우 예치금은 미미한 증가(6000억원)에 그쳤고 대출금은 오히려 11조1000억원이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투자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외환위기 이전 4조∼7조원 수준이던 단기금융자산(요구불예금 등)규모가 지난해 들어 16조원 수준으로 폭증했고 올 4월 금융기관의 단기 수신비중이 지난해말 42.7%보다 1.6%포인트 높은 44.3%를 기록하는 등 기업의 중장기적 자금조달의 걸림돌인 단기부동화 현상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은 관계자는 “외환 위기 이후 금융기관 통폐합, 대기업의 몰락 등으로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서 민간부문의 자금운용이 안전성 위주로 변화했다”며 “특히 자금운용의 단기화는 기업의 중장기 자금조달을 곤란하게 하는 등 경제운용의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는 요소여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간부문의 총자산중 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97년 기준 27%로 미국등 선진국에 비해 낮았다. 이는 각각 63.1%, 44.6%인 미국과 일본 국민들의 금융자산 비중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이들 나라의 금융자산 비중은 계속 확대돼 2000년 현재 65.4%, 48.2%에 이른다.
금융자산 가운데 주식 채권 등 유가증권의 비중은 99년 20.2%에 비해 14조7000억원이 준 17.3%(주식 9.8%,채권 7.5%)였으며 미국 43.7%(주식 35.5%,채권 8.2%)보다 낮았다. 일본은 한국보다 1.1%포인트 낮은 16.2%(주식 9.2%,채권 7.1%)였다.
한은 관계자는 “자본시장이 발달하지 못했고 부동산 등 실물자산을 선호하는 경향이 커 금융자산 비중이 주요 선진국보다 낮다”며 “우리나라 통계가 10년에 한번 작성돼 일률적 비교는 어렵지만 금융자산 비중은 크게 높아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민간부문 금융자산은 외환 위기 직전까지 연평균 16.4% 증가했으나 외환위기 이후 크게 떨어져 평균 6.4% 증가하는데 그쳤다. 지난해 증가율은 7.6%였다.
<이헌진기자>mungchii@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