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이 잇달아 쓰러지고 실업자가 급증하면서 계층간 위화감이 커진 터에 도농간 소득격차의 확대는 사회적 불안감을 증폭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근본적인 대응책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
통계청 조사 결과 지난해 국내 농가는 평균 2390만원의 연간소득을 올렸으나 이는 도시 근로자 가구의 연평균 소득 3150만원의 75.9%에 불과하다. 1999년에 도시근로자 소득의 83.6%에 이르렀던 농가소득이 2000년에는 80.5%로 떨어지고 이제는 70%선으로 내려간 것이다.
문제는 앞으로도 도농간 소득격차가 줄어들기는커녕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는 데에 있다. 농가가 안고 있는 빚이 과거에는 주로 농기구 구입 등 농업생산을 위해 쓰였으나 최근에는 소비를 위한 차입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경쟁력을 잃은 상당수의 농가가 농사지을 의욕을 점점 더 상실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농촌의 경쟁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에서 과거와 같은 인기성 소득보상정책만으로는 도농간 소득격차를 결코 해결할 수 없다. 1994년 우루과이라운드(UR)협상 타결 이후 7년여 동안 모두 57조원의 국가 예산이 농업에 투입됐다. 쌀 등 농산물 시장개방에 대비해 농어촌구조개선사업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되었다고 하나 농가부채만 늘어났을 뿐 이렇다할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선거를 앞두고 표를 겨냥한 인기성 농촌대책이 다시 기승을 부릴 것이다. 그러나 진정으로 농촌을 위한다면 이제는 근시안적인 미봉책에서 벗어나야 한다. 빈곤층 지원과 함께 농촌이 국제적으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농업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는 것이 시급하다.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