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발굴 「돌팔이」 판친다』…고고학 전국대회

  • 입력 1996년 11월 1일 20시 27분


「金次洙 기자」 고고학계의 소장학자들이 비전문가에 의한 문화재 발굴과 발굴예산의 주먹구구식 편성에 따른 발굴비리문제에 대해 자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선복(서울대교수) 이강승(충남대교수) 추연식씨(서울대강사) 등은 3일까지 경주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고고학전국대회에서 발굴비리문제를 정식으로 제기하고 각종 개발로 인한 매장문화재 발굴을 막을 수 없는 상황에서 유적을 최대한 보호 보존하기 위해서는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선복교수는 『50여곳의 발굴실시기관이 있지만 이중에는 고고학 교육을 체계적으로 받은 사람이 한 명도 없는 곳도 있다』면서 『이는 전문의(專門醫)가 아니면 할 수 없는 어려운 외과수술을 돌팔이들이 하겠다고 나서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이처럼 비전공자들이 발굴에 나서는 이유는 대규모 예산과 「이름내기」에 눈독을 들이기 때문』이라 진단하고 실제로 유적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는데도 발굴하는 시늉을 한 뒤 돈을 받아내는 사례도 있다고 말했다. 이교수는 용역발굴의 합리적 운영을 위해서는 △문화재행정의 체계성 제고 △도굴 등 문화재 파괴 방지 △문화재조사를 둘러싼 비리 발생소지 최소화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발굴비리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예산책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이를 위해서는 계획된 예산을 필요할 때 즉시 지급하고 발굴예산의 집행 의무와 권리를 발굴책임자에게 부여하고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한 추가예산 지원이 보장돼야 한다고 이교수는 주장했다. 이강승교수 역시 『최근 들어 억대의 비용이 드는 발굴이 늘어나면서 조사비 산정과 집행을 둘러싸고 잡음이 많이 생기고 있다』면서 예산을 합리적으로 배정하고 운용해야 부실발굴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발굴유물의 불가측성을 감안, 비용을 넉넉히 책정하되 사후정산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추연식씨는 『엄청난 발굴비용을 들여 구제발굴을 하고도 발전적 연구시도는 하지 않은 채 상투적인 보고서를 발간하는 관행이 계속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